•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청소년 구술에 나타난 엄마의 해체와 자기치유적 말하기 (Disorganization of the mother and self-healing speech in the oral history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7
32P 미리보기
탈북청소년 구술에 나타난 엄마의 해체와 자기치유적 말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44권 / 115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군

    초록

    이 글은 탈북민 3만 명 시대를 맞아 탈북 2세대, 특히 탈북청소년들이 간직한 트라우마에 주목하고자 한다. 탈북 2세대들은 1세대 부모들에게서 버림을 받고 가족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겪은 심리적 배신감이 마음속에 큰 상처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은 탈북 이후 국내에서 사춘기를 겪는 과정에서 부모와의 갈등으로 심각하게 표출된다. 이에 대한 치유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탈북청소년들의 국내 적응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탈북청소년들이 간직한 가족의 해체 양상과 치유 방안을 외부 요인보다는 구술이라는 방식에서 발견하고, 당사자들의 자기치유적 말하기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정상적인 삶의 범주를 벗어난 탈북이라는 사건에서 벌어진 가족의 이산은 기존의 상식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는 가족의 해체로 표면화되었고, 그 가족은 대체로 ‘엄마’로 대변된다. 탈북청소년들의 구술에서 발견되는 엄마의 해체 양상을 살펴보고, 구술의 과정에서 엄마의 행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들의 말하기 방식을 통해 자기치유의 과정을 발견하고자 한다.
    탈북청소년들의 구술에는 전통적 상식에서 벗어난 ‘엄마’의 형상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를 ‘엄마’의 ‘파괴’라고 보기보다는 ‘해체’의 양상으로 보고자 한다. 굶어 죽을 상황에서 탈북을 감행하였고, 극한의 상황을 어느 정도 수습한 후 자녀를 우선 구제하고자 한 엄마의 행위를 부정적인 것으로 재단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구술에서 “나를 버린 엄마가 원망스러웠지만 이제는 용서가 되고 이해한다. 그때는 어쩔 수 없었잖아요.”라는 진술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 ‘엄마의 해체’로 읽어내는 것이 온당해 보인다. 엄마의 해체 양상은 ①젠더의 역전-생계를 책임진 엄마 ②부모의 결별-인신매매 당한 엄마 ③엄마의 방황-외로운 엄마 ④엄마와의 분리-함께 살지 못하는 존재로 파악할 수 있다.
    탈북청소년들은 구술에서 자신을 버린 엄마를 보듬는 자기치유를 시도하고는 있지만 온전한 화해와 통합의 단계로까지는 아직 나아가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자기치유의 수준으로는 가능하지 않은 단계일 수 있다. 함께 살아가는 가운데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화해로 나갈 수 있을 것인데, 그러기에는 외상이 생각보다 심각하고, 국내 적응 프로그램이 피상적인 결과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uma of 30,000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They were abandoned by their parents in the process of escaping. Therefore, due to the psychological trauma from such betrayal, these adolescents have dismantled the concept of “family” in their minds. These psychological factors are acutely expressed through their parent–adolescent conflicts in South Korea after their defection. If healing efforts are not made to address this problem,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will face serious adaptation issu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spects related to family disorganization as perceived by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nd the ways of healing using oral history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self-healing speeches of the affected parties. Family separation in the case of North Korean refugees is deemed as the dismantling of the family unit, which cannot be accepted by conventional common sense, and the family is generally represented as the “mother.” Using the oral history of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this study exemplifies the dismantling of “mother,” examines the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their mother's behavior, and identifies a point of self-healing through their speech.
    In the oral history of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the image of “mother” in unconventional common sense becomes clear. This study examines this as an aspect of “dismantling” rather than “destroying” the concept of “mother.” Because they tried to escape from famine, it is unfair to judge the mother’s behavior negatively as she tried to save her child after succeeding in managing an extreme situation to a certain degree.
    The aspects of the dismantling of the “mother” are as follows: (a) gender role reversal—the mother running away for economic prospects, (b) parental separation—the mother who was trafficked, (c) the itinerant mother—solitary mother, and (d) separation from mother—a person who cannot live together.
    Although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re attempting to self-heal in order to embrace the mother who have abandoned them through their oral histor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y have not progressed to the stage of complete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It is due to the extent of the grievance that had made it impossible for them to self-heal. However, as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mother, they can understand each other more in-depth and finally reconci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