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랫말과 곡조를 통해 본 향악 정재 <舞鼓>와 <黃鷄詞>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ugo (舞鼓) and Hwanggyesa (黃鷄詞) through the Lyrics and Music)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3.12
37P 미리보기
노랫말과 곡조를 통해 본 향악 정재 &lt;舞鼓&gt;와 &lt;黃鷄詞&gt;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4호 / 31 ~ 67페이지
    · 저자명 : 임재욱

    초록

    이 논문은 <무고>의 연행에 사용된 노랫말과 곡조가 <황계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고려 시대부터 전하고 있는 <무고>는 조선 시대 궁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연행된 정재 중 하나이다. 조선 시대 정재 연행 상황이 기록된 각종 문헌을 조사해보면, 그것의 연행에 다양한 곡과 노랫말이 사용되었고, <무고>와 관련된 곡조와 노랫말이 <동동> 및 <무애>의 연행에 사용된 것들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고>를 연행할 때 부른 노랫말에는 <정읍사>, 승전무의 노랫말인 <지하자~>, <오관산>, <정동방곡>, 한문 가사 등 여러 가지가 존재했다. 그런데 이것들 중에서 <정읍사>, <지하자~>, <오관산>의 세 작품에 보이는 몇몇 구절이 <황계사>로 수용되었다. 그뿐 아니라 <무고>의 반주음악으로 쓰인 <정읍>의 선율 가운데 일부도 <황계사>로 계승되었다. <정읍>과 <황계사> 선율의 유사성에 기대어 판단할 때, <황계사>의 곡조는 <정읍>의 선율을 변주하여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무고>의 춤이 통영 지방으로 전해져 <승전무>로 계승되었고 그 노랫말인 <정읍사>와 <오관산>이 12가사 <황계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선행연구에서도 이미 언급된 내용이지만, <승전무>의 노랫말과 <무고>의 반주곡 <정읍>이 <황계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본고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사실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records about the results of study on the problem as follows. What kind of relation do the lyrics and melodies used at the performance of Mugo (舞鼓) make with those of Hwanggesa (黃鷄詞)? Mugo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court dance in Joseon dynasty. It can be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about various books recording the performative circumstance of court dances that many lyrics and musics were used at performing Mugo, and the lyrics and musics related Mugo outnumbered those of Dongdong (動動) and Muai (無㝵) which are another court dances in Joseon dynasty.
    There exist various lyrics such as Jeongeupsa (井邑詞), Ogwansan(五冠山), the lyrics of Seunggeonmu (勝戰舞), Jeongdongbanggok (靖東方曲) and so on. Some phrases of Jeongeupsa (井邑詞), Ogwansan (五冠山), the lyrics of Seunggeonmu were continued in Hwanggesa. And Jeongeup (井邑) which is the music of Mugo were inherited to Hwanggesa as well. So it can be said that the music of Hwanggesa were made by variation of the melodies of Jeongeup.
    It was already revealed that the dance of Seunggeonmu succeeded to that of Mugo and Jeongeupsa and Ogwansan, the lyrics of Mugo were continued in Hwanggesa. But It is first revealed in this paper that the lyrics of Seunggeonmu and Jeongeup, the melodies of Mugo was inherited to Hwangge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