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명’(avidyā)의 말놀이(nirukta) : ‘비존재’인가? ‘알지 못함’인가? (Wordplay(nirukta) of the “avidyā”: non-existence or ignoranc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무명’(avidyā)의 말놀이(nirukta) : ‘비존재’인가? ‘알지 못함’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8호 / 161 ~ 189페이지
    · 저자명 : 이영진

    초록

    ‘말놀이’라고 번역한 ‘니룩따’는 발음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어의를 해석하는 인도의 지적 전통으로, 불교 특히 대승불교에서는 이 지적 전통을 채용하여 새로운 사상을 주장하거나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해 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전통 중 『반야경』에 나타난 ‘무명’(無明 avidyā)에 대한 말놀이에 대해 다루었다. 대승불교 경전에 속하는 『팔천송반야』와 『대품반야』의 산스크리트본에는 무명을 발음의 유사성, 보다 정확하게는 동일한 “√vid”어근을 취하지만 그 어근의 다른 뜻인 ‘존재하다’를 취하여 “avidyamāna”즉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는 말놀이가 나타난다. 그렇지만 현장의 『대반야경』 중 『팔천송반야』와 『이만오천송반야』에 상응하는 버전의 한역 등에는 또 다른 방식의 해석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알지 못하는” 전통적인 ‘무지’(ajñāna)의 해석도 나타난다.
    필자는 이러한 말놀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팔천송반야』와 『대품반야』의 다양한 버전들, 그리고 이 경전들에 대한 하리바드라와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주석서를 참조하였다. 그 결과 『반야경』의 ‘무명’에 대한 말놀이가 ‘비존재’로부터 전통적인 해석에 일치하도록 ‘무지’로 점차 변화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그리고 최초의 ‘비존재’라는 말놀이는 『반야경』의 새로운 사상인 “공성”을 가지고 당시 주류 불교의 핵심 교리인 12연기를 설명하거나 더 나아가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시도로 추측하였다.

    영어초록

    The nirukta, traditionally held to be a "limb of the Veda" (vedāṅga), is the Indian semantic elucidation that interprets the meaning of a certain word (X) with another word (Y) having the phonetic similarity to the former (X). As a consequence of this interpretation, the meaning of X can be replaced and redefined by that of Y. In Early Buddhism, such a hermeneutic tool was employed to challenge or overcome the Brahmanical authority. In the same way, editors of the Mahāyāna scriptures applied the method to hollow out the meanings of key terms that had been established by the mainstream Buddhists and to give new meanings to the terms in line with their own ideas.
    This paper deals with the wordplay of avidyā based on the nirukta tradition in the Prajñāpāramitās. In the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as well as the Larger Prajñāpāramitā (both of which are Sanskrit versions), there is an interpretation of “avidyā”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a synonym of the ignorance (ajñāna) as “non-existent” (avidyamāna). This wordplay is undertaken based on the phonetic similarity between avidyā and avidyamāna, which is a strange choice of the meaning of the root √vid of avidyā i.e., “to exist” over “to know.” However,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avidyā appears in Chinese translations of the Aṣṭasāhasrikā and the Larger Prajñāpāramitā by Xuanzang and others. Here, the avidyā is said to be the ignorance of non-existence of dharmas. Haribhadra (8th century), commenting on the nirukta passage of the Aṣṭasāhasrikā, elucidated that ignorance (ajñāna) itself, not the non-existence [of dharmas]!, is conventionally (saṃvṛtyā) called avidyā according to the method pertaining to the nirukta. Ārya-Vimuktiṣeṇa (6th century), who composed the first commentary on the Larger Prajñāpāramitā based on the Abhisamayālaṅkāra, understood that the avidyā is synonymous with abhūtaparikalpa, projecting what is unreal [as real]. All of these interpretations reflec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avidyā, not the wordplay presented in the Sanskrit version of the Prajñāpāramitās.
    Comparing all the versions available to me, I assumed that the editors of the Prajñāpāramitās had first adopted the nirukta tradition to change the widely accepted meaning of avidyā, namely, ignorance with non-existence that is interchangeable with Prajñāpāramitās’ core teaching of “emptiness ”(śūnyatā). By doing so, they would have intended to show that the newly invented concept, “śūnyatā” can be applied to (or possibly replace)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