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말 전국 지리지 『해동여지통재(海東輿地通載)』의 추적 (The tracking of ‘Haedongyeojitongjae(海東輿地通載): National geographical book in the end of 18th centur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3.12
41P 미리보기
18세기말 전국 지리지 『해동여지통재(海東輿地通載)』의 추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3호 / 31 ~ 71페이지
    · 저자명 : 양진석

    초록

    정조대에 『해동여지통재』 60권이 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당대에 제작된 실물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정조대에 제작된 읍지들이 많지만, 『해동여지통재』로 명명된 원본 형태의 읍지를 찾아보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다. 이 글에서는 정조대의 기록들을 이용하여 『해동여지통재』로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상정하고, 읍지의 내용을 분석하거나 혹은 목차구성의 유사성을 통하여 추정하여 보았다.
    정조대에 작성된 읍지 중 전라도의 읍지들을 주 대상으로 삼아 내용상 『해동여지통재』로 추정되는 것들을 찾으려 하였다. 그 중에서는 정조의 요구와 맞아떨어지는 형태의 읍지들이 있었다. 그리고 후대에 다시 베껴서 재작성한 것들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동여지통재』의 계열에 속하는 것은 이전 읍지인 『여지도서』에 비해 통치와 관련한 항목을 새롭게 설정하였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을 실었다. 그리고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하려 한 것중 하나로 樓亭 조는 관련된 문학작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싣고 있어서 『여지도서』와 다른 모습을 모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정조가 지리지 제작과정에서 일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듯이, 『해동여지통재』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 중에는 『여지도서』를 그대로 베끼거나 혹은 이전의 내용에 새로운 항목을 더하는 정도의 것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해동여지통재』는 이후의 읍지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순조 대에 작성된 읍지 중 경상도의 것은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읍지 상송령에 의하여 1894년 이후 혹은 1899년 이후에 작성된 것 중에는 『해동여지통재』를 필사한 흔적들이 남아 있다. 이것들은 정조후반에서 순조 대에 이르는 시기에 작성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해동여지통재』에 대한 좀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는 측면과 현재 남아 있는 읍지들 중에서도 『해동여지통재』의 원본 내지 그 흔적을 찾으려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측면을 언급하려 하였으며,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It has been known that 60 books of ‘Haedongyeojitongjae’ were made in the era of King Jeongjo(정조), but nothing has been remained. There are many ‘Eupji’s made in the era of King Jeongjo, but less research has been done to track the original type of Eupji named ‘Haedongyeojitongjae.’ This research developed a model that can track ‘Haedongyeojitongjae’ by using the historic record in the era of King Jeongjo, and tracked the original type of ‘Haedongyeojitongja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Eupji and comparing the similarity of the table of contents.
    This study selected ‘Jeolla-do Eupji’ among those made in the era of King Jeongjo as main research area, and tried to find Eupji that can be considered as ‘Haedongyeojitongjae.’ There are some Eupjis that fit for the purpose of Jeongjo. There are also some Eupjis copied later.
    What can be considered as ‘Haedongyeojitongjae’ set up the new provisions related to the rule over the county that is different from those of ‘Yeojidoseo,’ and included more detail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chapter of ‘Noojeong(누정)’ included many literary works in order to make substantial Eupji, which is different from ‘Yeojidoseo.’ However, some Eupjis that can be considered as ‘‘Haedongyeojitongjae’ duplicated ‘Yeojidoseo,’ and just added new items to the existing ones, which can be shown from the fact that Jeongjo criticize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was not perfectly performed.
    ‘Haedongyeojitongjae’ had affected Eupji that were made later, and particularly ‘Gyeongsan-do Eupji’ made in the era of Sunjo(순조) was much affected by ‘Haedongyeojitongjae.’ Some Eupjis made by the order of Sangsong in 1894 or 1899 have marks transcribing ‘Haedongyeojitongjae.’ Those Eupjis included contents made from the late of King Jeongjo to King Sunjo.
    This research insists that much more research on ‘Haedongyeojitongjae’ should be conducted and efforts to find the original ‘Haedongyeojitongjae’ or to find the trace should be continued, and also shows some specific exa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