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증관리 교육이 재가 말기암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Pain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t Hom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2.08
14P 미리보기
통증관리 교육이 재가 말기암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종양간호학회
    · 수록지 정보 : Asian Oncology Nursing / 2권 / 1호 / 36 ~ 49페이지
    · 저자명 : 권 인 각・황 문 숙, 김지현

    초록

    1. 결론
    본 연구는 가정간호과에 등록된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간호를 통해 통증관리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말기 암환자의 통증조절관련 염려 정도, 통증 정도,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방해 정도, 통증조절에 대한 만족도 등 종양성 통증관리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1998년 10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한 S종합병원 가정간호과에 등록하여 가정간호서비스를 받는 있는 환자 중에서 종양성 통증을 호소하는 말기암 환자를 선정기준에 의해 임의추출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으로 총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중재로는 1단계로 권인각(1999)이 개발한 "의료인 교육 지침서"를 이용해 가정간호과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 14명에게 강의 2시간, 통증조절개선을 위한 방안 토의 1시간의 총3시간으로 구성된 집합교육을 실시하였으며, 2단계로는 상기 교육을 받은 가정간호사가 가정간호에 등록된 실험군 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권인각(1999)이 개발한 "환자용 지침서"를 이용해서 통증관리에 대한 환자교육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중재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가정전문간호사의 통증관리교육이 실시되기 전에 "환자결과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에 대한 자료 수집이 종료되고 가정간호사 교육이 실시된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전조사는 첫 가정 방문시에, 사후조사는 환자교육 2-3주후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도구는 미국통증학회(1995)에서 제시한 "환자결과설문지"를 권인각(1999)이 번안해서 사용한 25문항 중 본 연구에 부합되는 18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SPSS window 9.0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환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²-test로 분석하였으며, 통증조절에 대한 염려정도, 통증 정도,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방해 정도의 변화와 통증조절에 대한 만족도의 가설검정을 위해서 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증관리 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 환자는 교육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환자에 비해 통증관리와 관련된 염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
    2) 통증관리 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 환자는 대조군 환자에 비해 통증 정도(현재 통증, 지난 24시간 심한 통증과 평균 통증)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
    3) 통증관리 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 환자는 대조군 환자에 비해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방해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1).
    4) 통증관리 교육을 제공한 실험군 환자는 교육을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 환자에 비해 전반적인 통증 조절에 대한 만족도와 통증조절관련 가정전문간호사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0).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증이 있는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재가 통증관리 교육은 말기 암환자들의 통증조절에 염려와 통증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연구대상자가 1개 종합병원의 소수의 환자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여러 기관의 보다 많은 표본의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2) 통증관리에 대한 환자 교육의 결과로 마약사용에 대한 환자의 부정적 태도가 개선되고 의료진도 약물중재를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환자의 통증조절행위의 변화와 함께 진통제 사용량의 변화를 함께 조사할 것을 제언한다.
    3) 보다 효과적인 암환자 통증관리를 위해서 속효성 모르핀의 도입과 활용을 제언한다.
    4) 통증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기관 자체의 통증관리프로토콜의 개발 및 적용, 통증관리팀의 구성, 통증관리의 질 보장을 위한 QA 활동 등 의료기관 차원의 조직적인 활동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pain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t home.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modified Patient Outcome Questionnaire (APS, 1995) including patients concerns with cancer pain management, pain intensity, and interference of daily activities related to pa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i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was measured after the intervention. Pain management education was delivered to 16 experimental group patients by home care nurses, who were provided with 3-hour education on cancer pain management by one of the researchers. Pain management education included common misconceptions about cancer pain control 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emphasis was put on the importance of pain reports and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in pain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atients concerns with pain management were decreased more grea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worst, average, and present pain intensities during the last 24 hours were decreased more grea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otal score and each subcategory of the interference of daily living, except walking, were decreased more grea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tisfaction score with total pain management and nurses response to the pain reports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in management education given to the patients by home care nurses is a very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pain of the cancer patients at home. This positive result is thought to derive from patients' active pain report and participation in
    pain control and the use of powder form sustained release morphine for breakthrough pain control in part. Further studies with increased sample size from more institutions are recommended and early introduction of short acting morphine is strongly suggested for effective cancer pain contr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sian Oncology Nursing”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