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말 고려초 稱元法의 변화와 그 배경 (Changes and Its Background in the Chronology from the Late Silla to the Early Goryeo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12
40P 미리보기
신라말 고려초 稱元法의 변화와 그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45호 / 291 ~ 330페이지
    · 저자명 : 이부오

    초록

    본고는 고기류와 금석문을 통해 신라말~고려초에 칭원법이 변화하는 과정과 배경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삼국사기』에 인용된 古記류의 일부는 즉위년칭원으로 정리되었다. 그 고기류의 찬술 시기는 「가락국기」가 찬술된 11세기말이나 구삼국사가 출현한 광종대까지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고기류 기사의 일부는 『삼국사기』와 별도의 계통으로 『삼국유사』에 수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일부 자료는 유년칭원으로 작성되었다가 『삼국사기』 신라본기나 그 저본에서 즉위년칭원으로 수정되었을 것이다. 일부 고기류에서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이 혼용되었다. 크게 보면 유년칭원에서 즉위년칭원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변화의 기점은 중대초와 고려초 사이의 어느 구간으로 나타난다.
    신라 금석문에서는 원래 유년칭원을 사용했다. 이러한 경향은 중대를 거쳐 백률사석당기(818)까지 이어졌다. 반면 보림사 비로자나조상기(859) 이후에는 즉위년칭원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현왕의 즉위연차나 기년의 상당 부분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일치하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하지만 법흥왕대에 대해서는 저본의 유년칭원 기록을 그대로 수용하여 혼용하기도 했다. 유년칭원으로 기재된 저본을 즉위칭원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유년칭원에서 즉위년칭원으로 변화하는 추세 속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9세기 후반경 칭원법의 변화가 시도된 것은 내부적 요인에 따랐을 가능성이 크다. 9세기 동안 빈번하면서도 비정상적인 왕위의 교체가 그 정당성을 과시하기 위해 즉위년칭원을 시도하는 동기로 작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변화는 점진적이고 불규칙한 과정을 거쳤다. 즉위년칭원법은 고려초인 949년 광종이 공식적으로 실시했지만, 동왕 후반부에는 송의 연호를 사용하면서 유년칭원으로 돌아갔다. 현종이 다시 즉위년칭원법을 실시하면서 즉위년칭원이 보편화되었다. 여기에는 취약한 왕권을 정당화하려는 동기와 함께 遼의 즉위년칭원 경향이 영향을 미쳤다. 다수의 고기류에서 즉위년칭원이 적용된 것은 이러한 흐름에 따른 것이다. 광종대와 현종대에 시행된 즉위년칭원법은 『삼국사기』가 이를 기준으로 삼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Some of the articles from the Gogi(古記) cited in 『Samguksagi』 were written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The period in which the Gogi was written can be dated to the end of the 11th century or the Goryeo Gwangjong(光宗) period. Some of these articles in the Gogi would have been accepted in the 『Samgukyusa』 without going through the 『Samguksagi』.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articles in the Gogi would have been written using the second year-accession, and then revised to the first year-one in 『Samguksagi』 or its text. In some of Gogi, the second year-accession and the first year-one were used interchangeably. In general, the former changed into the latter. The beginning point of the change was betwee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was used in Silla's inscriptions. After Borim Temple's Virojana-Jossanggi(彫像記: 859), the proportion of using the first year-on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article dealing with the period of King Beopheung, the second year-accession was used interchangeably. Errors also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n article in the text written using the second year-accession into the first year-one. This kind of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second year-accession to the first year-one.
    The reason why the Chronology was attempted to be replaced in the 9th century would have been domestic. The frequent and abnormal replacement of the throne in the 9th century would have served as a motive for attempting the first year-accession to show off its legitimacy. But those changes were gradual and irregular. In 949, Goryeo's Gwangjong officially implemented the first year-accession, but in the latter half of his reign, he returned to the second year-on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e first year-accession was implemented again and became common. The first year-accession implemented during the two kings' periods originated with the purpose of legitimizing the weak royal authority, and was influenced by that implemented during the Liao(遼) dynasty. The first year-accession applied to many Gogies followed this trend. This accession,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two kings' reign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authors of 『Samguksagi』 using it as a stand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