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한국에서의 ‘外交’ 용어의 활용 양상 (The Use of the Term ‘外交(외교;Wegyo)’ in the Late 19th Century of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19세기 말 한국에서의 ‘外交’ 용어의 활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1호 / 179 ~ 212페이지
    · 저자명 : 민회수

    초록

    서양에서 ‘外交’의 의미를 지니는 ‘diplomacy’의 어원은 ‘접는다.’라는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 ‘diploma’로, 통행증이나 공문서 등의 의미로 쓰였으며 ‘diplomacy’의 의미에 해당되는 용어는 ‘negotiation’이었다. 그러다가 나폴레옹 전쟁 이후에 비로소 오늘날과 같은 ‘외교’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중국에서의 ‘외교’는 『禮記』에서 ‘人臣無外交’, 곧 “남의 신하된 자는 외교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첫 등장한 이후 외교사절의 사적인 행위를 뜻하는 금기적 개념으로 쓰였으며, 일본의 경우 이와는 별개로 ‘外國交際’의 줄임말로서 外務省 설립을 계기로 1870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에서의 ‘외교’ 역시 ‘인신무외교’ 관념에 따른 예물수수 등 외교사절의 금지된 사적 행동을 의미했는데, 대중국 외교의 현장에서 점차 이 금기 개념은 현실상으로는 해체되어 갔다. 대신에 이 ‘인신무외교’ 개념은 19세기에 들어 서구열강들의 통상요구가 거세지면서 이를 거부하는 명분으로 활용되었고, 이 과정에서 ‘외교’는 기존 사대질서 내의 국가들과의 관계시 일어나는 개인의 일탈행위라는 기존의 것과는 의미가 조금 변경되어 사대질서 밖의 서양과 국가 차원에서 통상하는 행위를 뜻하게 되었다. 그러나 터부의 대상임은 여전했으며 조․일수호조규 체결 이후 1870년대까지 조선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이어진다.
    한편 1870년대 중반 이후 청은 조선을 서구 제국주의 열강으로부터의 완충재로 삼기 위해 서양 제국들과의 조약 체결을 권고하는 방침을 정한다. 이에 따라 ‘외교’는 기존 ‘인신무외교’ 개념의 금지 대상이 아니라 조선이 해야 할 당면 과제로 설정되게 되어 청측에서는 외교를 조공국 조선이 서양과 관계를 맺는 필요한 행위의 의미로 사용하게 된다. 조선 역시 『朝鮮策略』의 전래 이후 서양과의 수교 방침을 정하면서 ‘외교’는 앞의 ‘인신무’라는 전제가 삭제되어 터부적 의미가 많이 약화되지만, 서양과의 관계 수립이 현실화되기 이전에 이 용어가 일반적인 대외관계를 뜻하는 용어로 공식 사용되기는 힘들었다.
    이후 1882년에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면서 “조선이 중국의 屬邦이지만 內治와 外交는 자주”라는 내용의 속방조회가 高宗 명의로 미국 대통령에게 발송되었다. 이로서 ‘외교’는 ‘조선이 자주적으로 하는 것’으로 공식 규정되었으며, 만국공법 체제 하 구성원들과 가지는 관계 일반을 뜻하는 근대적인 의미와 유사한 뜻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조약 체결 이후 상소문 등에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시민권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청국과의 사대질서가 온존하는 이상 청을 제외한 국가들과의 관계를 의미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으며, 청 역시 조공국의 대외관계를 뜻하는 ‘외교’ 용어의 사용을 기피하여 이를 자신들의 그것을 의미하는 뜻으로 사용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은 청일전쟁 이후 사대질서가 청산되면서 변화하였다. 곧 ‘외교’가 양국 모두에서 근대적인 ‘diplomacy’의 번역어와 등치되는 대외관계 일반을 지칭하는 용어로 확립되었고, 한국에서는 관제와 규정에 이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영어초록

    The origin of the word ‘diplomacy’, meaning ‘外交(외교; Wegyo)’ in the West, is the Greek word ‘diploma’ meaning ‘folding’, used as the word indicating a pass or an official document. And the term ‘negotiation’ originally meant ‘diplomacy’, substituted for after the Napoleonic Wars. ‘外交’ in China, after its first appearance in the form of the sentence “人臣無外交(A retainer cannot do diplomacy)” in 『禮記』, has been used as a taboo meaning the private act of diplomatic envoys. Unlike this, it started to be used as an abbreviation of ‘外國交際’ in Japan from about 1870 on the occas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外交’ in pre-modern Korea meant the taboo of “人臣無外交” same as China, which gradually disintegrated in the field of diplomacy with China. Instead, this was later used as a reason to reject the Western Powers’ demands for trade in 19th century.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外交’ changed a little bit, from personal deviation in the diplomacy within East Asian world order into trading with Western Powers at the level of the nation. However, it was still taboo in Korean till the end of 1870s.
    Meanwhile, China has set a policy of recommending Korea the conclusion of treaties with Western Powers since the mid-1870s. Therefore the meaning of ‘外交’ turned from the taboo of “人臣無外交” into an urgent task to be undertaken by Korea. This made China use the word ‘外交’ as the meaning of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by its subject state Korea. Also in Korea, ‘外交’ became less taboo after the decision for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the Western states. But It was still difficult for this word to be formally used as indicating general foreign relations.
    The reference to the effect that Korea was the tributary state of China, but does ‘內治(domestic administration)’ and ‘外交’ independently was sent to the President of U.S.A. in the name of Korean King after the conclusion of treaty between Korea and U.S. in 1882. ‘外交’ was formally defined as something Korea did independently consequently, and its meaning became similar as the modern that of ‘diplomacy’, general foreign relations with the member states of international law world order.
    However, its meaning didn’t contain Korean relationship with China as long as the traditional East Asian world order was lasting. And China also could’t use ‘外交’ as diplomacy of itself because it meant diplomacy of its subject country. This situation changed as the traditional East Asian world order collapsed after Sino-Japanese War in 1894, making ‘外交’ same as the modern meaning of diplomacy in both countries, and used in the government system and regula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