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개성상인의 蔘業 경영과 그 성격 (19th Century's Ginseng Industry run by Kaesung merchants and its characteristics)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9.06
54P 미리보기
한말 개성상인의 蔘業 경영과 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94호 / 123 ~ 176페이지
    · 저자명 : 양정필

    초록

    1710년 기록에 의하면 영남지역 사람들은 인삼 재배법을 알고 있었다. 홍삼도 1707년 기록에 등장하고 있으므로 이때 이미 제조법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홍삼의 대량생산과 대중국 수출은 19세기 이후 개성상인에 의해서 주도되었다. 인삼재배법과 홍삼제조법을 알고도 1세기 동안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였던 이유는 ‘자본’ 축적이 미약했기 때문이었다. 홍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5-6년 동안 많은 자본을 투자해야 했고 투자된 자본은 그 기간 동안 고정되었다. 이 자본 문제 해결 없이는 홍삼의 대량 생산은 불가능하였다. 19세기 들어서 개성상인은 축적한 상업자본을 蔘業자본으로 전환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19세기 개성상인은 인삼재배법과 홍삼제조법에서 큰 진보를 이루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글에서는 19세기 말의 재배법과 제조법 그리고 그를 위한 비용문제=자본투자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삼포 경영을 위해서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었고, 작업에 따라 일시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삼업은 자본과 임노동의 결합에 의해 경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정은 19세기 초중반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정부는 홍삼수출량은 정하고 그 수량 이외의 수출은 불법으로 간주하여 처벌하였다. 그러나 개성상인들은 1900년 무렵까지 홍삼제조와 그 수출에도 직접 관여하였다. 홍삼 수출에서 얻는 수익이 인삼재배에서 얻는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하였기 때문이다. 1900년 무렵까지 개성상인은 공식적으로는 인삼재배자였지만, 실질적으로는 홍삼의 제조와 수출 사업도 겸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인삼을 재배한 곳에서는 10년 동안 다시 재배할 수 없기 때문에 蔘圃主는 타인의 토지에 삼포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인삼은 高價의 작물이었기 때문에 삼포에는 일반 농지와는 다른 권리관계가 있었다. 차지료가 일반 작물에 비해 3배 정도 고가였고 선불이었다. 차지기간도 본포의 경우 삼을 수확할 때까지였다. 차지인은 토지가 인삼 재배에 적당하지 않으면 해약할 수 있었지만, 토지소유권자는 차지료를 제때 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해약할 수 없었다. 이처럼 차지권자의 권한이 토지소유자에 비해 강하였다. 비록 타인 소유 토지에 설치되었지만 蔘圃權은 일종의 물권으로 인정받았다. 따라서 차지권이지만 삼포권은 자유롭게 매매되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a document written in 1710, people in Kyungsang province knew how to cultivate ginseng. We can find out records on Red ginseng written in 1707. Though they knew how to cultivate ginseng and make Red ginseng, they were not able to manufacture Red ginseng for one century because they did not have enough capital to manufacture Red ginse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early 19th century, however, Kaesong merchants started to manufacture Red ginsneg in large scale and export them to China. Kaesong merchants had successfully transformed their commerce capitals into ginseng capitals. In other words, Kaesong merchants made a big advance in cultivating ginseng and making red ginseng in the mid-19th century.
    This thesis examines the methods of cultivating ginseng and making red ginseng including ginseng capitals in the late 19th century. To run ginseng-fields, ginseng-field owners invested big capitals and employed many workers. According to the documents of the late 19th century, ginseng industry was operated by a mixture of capital and labor.
    In the 19th century, the export quantity of red ginseng was laid down by Choson dynasty. And as only interpreter-officials were legally allowed to export red ginseng to China, Kaesong merchants participated in manufacturing red ginseng and exporting them to China via black market. Although until 1900 Kaesung merchants had rights to only own ginseng-fields, they actually manufactured and exported red ginseng to China.
    Most of the ginseng-field owners rented other people's lands to use as ginseng-fields, because the lands that had been used for ginseng-fields could not be used for ginseng cultivation for more than 10 years. Since ginseng was a very highly priced farm product, the custom of the leased land differed from the normal leased land. The rent costs for ginseng-field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normal farms and were paid in advance. Also, the term of a contract was finished when ginseng-field owners cropped ginseng. Though ginseng-field owners were leaseholders, they had big power over the landowners. The leaseholders could cancel the contract of the leased land if the leased land turned out to have some trouble for cultivating ginseng. But landowners could not cancel the contract even in cases they were not paid the rent. In spite that ginseng-fields were leased lands, ginseng-fields were authorized as a real right. So ginseng-fields were traded freely and very frequ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