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잡가 <육자배기> 노랫말의 다양성과 변이 연구 - 콘텐츠로 소비된 근대 대중가요 잡가 노랫말의 한 형태 - (A Study on the Diversity and Variations of the Song Lyrics of the Miscellaneous Song - A form of modern pop songs consumed as content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02
27P 미리보기
잡가 &lt;육자배기&gt; 노랫말의 다양성과 변이 연구 - 콘텐츠로 소비된 근대 대중가요 잡가 노랫말의 한 형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성어문학 / 48권 / 229 ~ 255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혜

    초록

    본 논문은 근대 초 널리 향유된 잡가 <육자배기>의 노랫말을 분석하여 의의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잡가 <육자배기> 노랫말을 수록하고 있는 20세기 전반의 활자본 잡가집과 유성기 음반을 모두 검토하였고 활자본 잡가집에서 36종, 유성기 음반에서 15종, 모두 51종의 <육자배기> 노랫말을 확인·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51종의 <육자배기> 노랫말을 내용과 양상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전통민요형 <육자배기>’로 노랫말에 잡가 <육자배기>의 원형이 된 남도 민요 <육자배기>의 흔적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51종 중 13종이 이에 해당하고 이는 활자본 잡가집에서만 발견되었다. 두 번째는 ‘유행가요형 <육자배기>’로 당대 유행한 다른 잡가의 노랫말들을 대거 차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51종 중 15종이 이에 해당하고 이는 활자본 잡가집에서만 발견된다. 세 번째는 ‘창작형 <육자배기>’로 앞서 확인한 ‘전통민요형 <육자배기>’와 ‘유행가요형 <육자배기>’의 노랫말 일부와 ‘새롭게 창작한 노랫말’을 더하여 만든 것이 특징이다. 활자본 잡가집의 8종과 유성기 음반의 15종, 모두 23종이 이에 해당된다. 여기에 속한 23종은 대부분 중복되는 것 없이 각편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그리고 근대에 향유된 잡가 <육자배기>의 노랫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다양한 잡가 <육자배기> 노랫말이 순차적으로 생성-소멸한 것이 아니라 함께 공유되었다는 것, 1928년을 기점으로 ‘창작형 <육자배기>’가 주류를 이루었다는 것, ‘창작형 <육자배기>’의 흐름을 지속하고 주도한 인물이 있었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렇게 발견한 근대 잡가의 노랫말 향유 양상은 지금 우리가 콘텐츠를 창작하는 상황과 많이 닮아있다. 특히 원형(민요 <육자배기>)을 기반에 두고 새로운 콘텐츠(잡가 <육자배기>) 창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은 지금의 고전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나아가 우리가 근대 잡가를 당대의 대중문화로 바라보아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lylics of the Japga Yukjabaegi, which was widely enjoyed by the public in the early modern times, and to read off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time. All of printed Japga collections and gramophone records of the time, where the lyrics of the Japgas were contained, were reviewed in order to find out those of the Japga Yukjabaegi, which was enjoy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find a total of fifty-one Yukjabaegi lyrics consisting of thirty-six ones from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and fifteen ones from the gramophone records. In addition, the fifty-one Yukjabaegi lyrics were analyzed after classifying them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content and aspects.
    First type is the Yukjabaegi influenced by traditional folk songs and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trace of the Jeolla-do folk song Yukjabaegi, which became a prototype of the Japga Yukjabaegi, in its lyrics. Thirteen Yukjabaegi lyrics fall into this type and are only found in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Second type is the popular Yukjabaegi of the time and is characterized by largely adopting lyrics from other popular Japgas of the time. Fifteen lyrics fall into this type and are only found in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Third type is the created Yukjabaegi, and a total of twenty-three lyrics consisting of eight ones from the printed Japga collections and fifteen ones from the gramophone records fall into this type. This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with an addition of some of the lyrics from the Yukjabaegi influenced by traditional folk songs and the popular Yukjabaegi of the time to the newly created Yukjabaegi. Most of the twenty-three lyrics belonging to this type are included in each edition without being overlapped.
    Moreover, it wa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the social culture of the time through an analysis of the lyrics of the Japga Yukjabaegi enjoyed in modern times in this way. What I was able to get a glimpse of were that the prototype enjoyed earlier was used as an important factor when Japgas were created to gain popularity among the public at the time, that there were people who led and influenced the flow of the Japgas, popular songs at the time, and that one fixed type did not continue, but a new type of recreation was constantly attempted.
    The social ans cultural aspects of the time discovered in this way are very similar to the situation where content is created by people toda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an attempt to create new content is made based on the prototype gives many implications for content production using classics. Furtherm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it lets us know the fact that we can understand Japgas only when we look at them as one of popular culture categorie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성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