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조 말~광해군대 대명무역의 전개 (Joseon-Ming Trade from the End of Imjin War to the Final Years of King Gwanghaegu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12
37P 미리보기
선조 말~광해군대 대명무역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9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이재경

    초록

    본고는 임진왜란이 종결된 직후인 선조 말부터 광해군대까지 대명무역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추적하고, 대명무역의 구조 및 규모를 비롯한 전반적인 실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16세기 조선은 일본 은이 명으로 유입되는 중요한 통로이자 중개무역의 주체였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일본 은의 유입이 중단되면서 조선은 새로운 수출품을 확보해야 했다. 때맞춰 명에서 인삼 수요가 증가하여 인삼의 가격이 상승하였으며, 새로이 도입된 인삼 가공법인 把蔘은 인삼의 상품화를 용이하게 했다. 따라서 조선은 부경사행의 사무역ㆍ중강개시ㆍ밀무역을 통해 인삼과 모피를 명에 수출하였다. 선조 말 부경 사무역의 규모는 임진왜란 이전 수준을 점차 회복하였으며, 중강개시에서는 연간 은 수만 냥, 밀무역을 통해서는 연간 은 수천 냥 규모의 무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해군대에는 대명무역의 통로가 부경 사무역으로 일원화되는 한편 무역 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대일무역의 복구와 함께 조선은 일본 은과 조선산 인삼을 명에 수출하고, 명의 견직물을 주로 수입해왔다. 광해군 후기 조선은 부경사행을 통해 연간 은 10여만 냥 규모의 대명무역을 전개하였으며, 무역의 규모는 임진왜란 이전을 뛰어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부경 사무역이 팽창할 수 있었던 데는 기유약조로 대일무역이 복구되어 일본 은의 유입이 재개되었던 점, 중강개시의 철폐로 인해 대명무역의 통로가 일원화되었던 점이 구조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대명외교에서 적극적으로 교섭비용을 지출하고 궁궐공사 등을 위해 공무역을 활발히 진행하는 한편, 사무역에 대해서는 대체로 방임하였던 광해군의 태도 역시 부경 사무역의 팽창을 초래한 배경이었다.
    광해군대 부경 사무역이 활기를 띠면서, 부경사행에 참여하는 인원들은 적극적으로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공무의 지체나 밀수품의 수입, 공금의 유용 등의 부작용도 나타났고, 명 관원들이 조선 부경사행을 수탈하는 폐단도 초래되었다. 이러한 부작용 자체는 이전 시기에도 존재하였으나, 무역의 규모가 증가하고 금령이 해이해지면서 광해군 후기에는 그 정도가 더욱 심화되었다.
    임진왜란의 타격에도 불구하고, 선조 말~광해군대 조선의 대명무역은 빠르게 이전의 규모를 회복하면서 활발히 전개되었다. 把蔘의 등장으로 조선은 새로운 수출품을 확보했으며, 대일무역의 회복 이후 광해군 후기가 되면 조선의 대명무역 규모는 임진왜란 이전의 수준을 능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적지 않은 부작용도 초래되고 있었으며, 광해군 13년(1621) 후금의 요동 점령으로 인해 광해군 말 대명무역의 흐름은 일시적으로 단절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ed to track the development of Joseon-Ming trade from the end of Imjin War (1592-1598) to the final years of King Gwanghaegun (r.1608-1623). Main focus of the research i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scale of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16th century, Joseon was an important channel through which Japanese silver was exported to Ming China. However, as the inflow of Japanese silver was stopped due to the Imjin War, Joseon had to find other goods to export to the Ming market. Fortunately, the demand for ginseng drastically increased in China. Simultaneously, pasam, the newly introduced ginseng processing method, facilitated Joseon’s mass export of ginseng. Therefore, during the late years of King Seonjo’s reign, Joseon exported ginseng and fur through tributary missions, the Junggang market, and smuggling. The size of tributary trade gradually recovered the level before the Imjin War. Also, it is estimated that goods equivalent of tens of thousands taels in silver were traded annually through the Junggang market, another thousands through smuggli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Joseon-Ming trade was solely conducted by tributary missions.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rad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restoration of trade with Japan in 1609, Joseon began exporting of Japanese silver and Korean ginseng to the Ming dynasty, and imported silk in return. In the late Gwanghagun period, Joseon’s trade with Ming was worth more than 100,000 taels in silver, which seems to have surpassed the scale of Korean-Sino trade before 1592.
    One of the main factors which facilitated the expansion of Joseon’s trade with the Ming dynasty was that the inflow of Japanese silver resumed as Joseon restored its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in 1609. Also, the abolition of the Junggang market in 1613 stimulated the growth of Joseon’s tributary trade. Furthermore, the attitude of King Gwanghaegun, who actively spent large expenses in his diplomacy with the Ming China, carried out official trade for the construction of royal palaces, and generally looked other way on the wrongdoings of tributary missions, was another background of the rapid increase of Korean-Sino trade at the time.
    With the revitalization of Joseon’s tributary trade, the interpreters, envoys, and other personnel in the tributary missions actively pursued economic gains through trade. In the process, problems such as delays in official diplomatic schedule, smuggling of illegal goods, and misapporiation of government funds went rampant. Moreover, Ming officials preyed on Joseon’s tributary missions. Side effects of tributary trade had existed long before the Imjin war. However, as the scale of trade increased and the regulations loosened, the degree of wrongdoings became more serious than 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