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만 2세 미만 아동의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Childcare Services: A study targeting childcare services for children below two year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1.06
25P 미리보기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만 2세 미만 아동의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7권 / 2호 / 77 ~ 101페이지
    · 저자명 : 전상민

    초록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해 사회 전반적으로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영유아 부모의 욕구를 반영한 보육서비스의 제공은 영유아 부모의 만족도를 높이고 심각한 사회 문제인 저출산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 도출을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2008』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만 2세 미만 아동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소비실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만 2세 미만 아동 보육서비스의 주된 이용 동기는 어머니의 취업인 것으로 나타나 맞벌이 가구의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영유아 보육서비스가 필요하다. 취업모의 출산 후의 원활한 직장 복귀를 돕고, 만 2세 미만 아동의 개인대리양육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아이돌보미 영아종일제 서비스의 대상 월령을 현재의 출산 후 3-12개월에서 2-24개월로 확대해야 한다. 또한, 맞벌이 가구의 총소득이 외벌이 가구에 비해 많음을 감안하여 아이돌보미 보육료 지원기준의 차별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만 2세 미만 아동의 경우, 개인대리양육 서비스의 이용률과 부모의 만족도가 보육시설 대비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정부의 보육지원정책이 현재의 보육시설 위주에서 개인대리양육 서비스 위주로 전환되어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 운영 중인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확대하고, 경기도의 가정보육교사제도 등 각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개인대리양육 서비스에 대한 정부 지원도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대리양육자 고용비용에 대한 소득공제를 인정하는 등의 세제적인 혜택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혈연 대리양육자를 이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한 양육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보육시설 미이용 가구의 양육수당 지원을 현행 차상위계층에서 소득 하위 70% 가구에게까지 확대하고, 지원금액도 현행 10-20만원 수준에서 아이돌보미 지원 금액인 40-60만원 수준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대리양육 서비스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가정 보육시설과 민간개인 보육시설의 평가인증시스템 강화와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영아전담 보육시설의 수적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정부가 주력하고 있는 보육시설의 보육료지원과 더불어 아동의 건강하고 안전한 보호를 위한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이 병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Childcare services are very important to parents and society, and the demands for childcare services are gradually growing with the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Childcare services are also a major issue in Korea because they can do much for solving the low birthrate. In order to identify the methods to enhance parents' levels of satisfaction in childcare services, this study uses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08”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and analyzes the trend in the usage of childcare services by paren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study ha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childcare services for children below two years should address the requirements of working mothers and double-income families because the services were mainly used for working mothers to continue in their jobs. The number of government-supported “all-day one-to-one childcare services” should increase to include the families with 2-24-month-old babies from the current 3-12-month-old babies, thereby helping working mothers to get back to work post- delivery and to satisfy their demands of the services. Moreover, the government subsidies for double-income and single-income families should be based on different standards because the gross income of double-income families is higher than that of single-income families.
    Second, families using one-to-one childcare services should be given as much public support as that existing for families using day care centers because the families with children below two years used the one-to-one childcare services more frequently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The numbers of the one-to-one childcare services that are supported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be increased. Further, the cost of one-to-one childcare services should be tax-deductible considering fairness with the financial supports of day care centers.
    Third, public support is required for families using relatives, such as grandmothers. The poorest 70% of Korean families using services of private nannies including relatives should be provided childcare benefits, and the benefits should be increased from 100,000–200,000 won to 400,000–600,000 won, similar to the all-day one-to-one childcare benefits.
    Finally, in order to complement the one-to-one childcare services, certification systems and maintaining quality control over “family day care centers”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are required. Additionally, more day care centers exclusively for children below two years should be set up. There is a need for rigid monitoring and public support for building protective day care centers in which the children feel comfortable and sa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정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