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길장 『승만보굴』』「섭수정법장」釋 연구- 정법 해석에 나타난 삼론교의적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rpretation of Shèshòuzhèngfǎzhāng (攝受正法章) in Jizang(吉藏)'s Shèngmánbǎokū(勝鬘寶窟): Focusing on the Doctrinal Characteristics of Sānlùn(三論) in the Interpretation of Saddharma(正法))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10
29P 미리보기
길장 『승만보굴』』「섭수정법장」釋 연구- 정법 해석에 나타난 삼론교의적 특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3호 / 89 ~ 117페이지
    · 저자명 : 한현숙

    초록

    여래장계 대표경전으로 알려져 있는 『승만경』에 대한 길장의 주석서인『『승만보굴』은 선행연구에서 알려진 대로 반야중관사상과 여래장불성사상의 융합을 과제로 삼았던 삼론교학의 사상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평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에 두고, 본 연구는 길장의 『승만보굴』 가운데 삼론교학의 논리구조가 가장 뚜렷이 드러나고 있는 「섭수정법장」釋에 대한 기초적인 고찰이다. 특히 ‘정법의 섭수’는 『승만 경』의 핵심 주제가 되는 개념이므로 여기서 정법 해석의 논리를 살펴봄으로써 삼론학의 집대성자인 길장의 사상적 기조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승만보굴』 「섭수장」석의 정법 해석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법과 섭수의 관계를 중심에 두고 境智, 智行, 人法 등의 이원적 범주의 대립쌍을 설정하여 二見을 파하는 不二논리로서 정법을 정의하는 철저한 파사현정의 기조를 보여준다. 둘째 二와 不二의 인연에 의한 무애의 논리, 달리 말하면 不二인 空觀과 二인 有觀의 인연무애의 표현인 二不二와 不二二의 두 가지 뜻으로써 정법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이로써 길장은 둘이 아니라는 부정을 넘어 둘의 작용을 살려내는 긍정까지 아우르는 무애의 의미에서 섭수정법을 풀이하고 있다. 여기서 특히 不二二의 뜻은 不二의 부정을 돌이켜 다시 二를 긍정하는 새로운 국면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삼론학이 과제로 삼고 있는 반야사상과 여래장사상의 융합으로 가는 중요한 매개가 되는 논리 형식이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승만보굴』 「섭수장」석은 삼론교학의 논리가 매우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가운데 二와 不二의 무애의 논리가 사상적 융합의 바탕을 마련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hèngmánbǎokū(勝鬘寶窟)』 is a commentary on the 『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ūtra』 which is known as the representative sutra of the Tathagatagarbha by Jizang. This is a good text that can examine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ānlùn(三論), which took as a task the mergence of the Prajñā-Madhyamaka-Thought and the the Buddhanature- Thought, as known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a basic review on 「Shèshòuzhèngfǎzhāng (攝受正法章)」, which is thought to show the logical structure of sānlùn most clearly among 『Shèngmánbǎokū』. In particular, since the concept of ‘Embrace of the saddharma’ is the core theme of 『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ūtra』, I think that we can get a glimpse of Jizang’s ideological foundation by examining the logic of interpretation of saddharma.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saddharma in the the 「Shèshòuzhèngfǎzhāng」 of 『Shèngmánbǎokū』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logic of Non-duality(不二) that sets the opposing pair of dual categories such as object-wisdom(境智), wisdom-practice(智行), and person-dharma(人法),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ddharma’ and ‘embrace’, and then breaks down view of duality(二見). This shows the basic principle of thorough ‘refuting the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破邪顯正)’ that defines saddharma in sānlùn.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logic of unhindered-way(無礙) based on the dependence between two(二) and non-two(不二). In other words, it is expressed in two ways: non-two depends on two(二不二) and two depends on non-two(不二二). Therefore, Jizang interprets saddharma as the meaning of Unhindered-way, which goes beyond the negation of the duality and includes the positivity of the action of the duality.
    In other words, sānlùn solves the task of merging of the Prajñā-Madhyamaka and the the Buddhanature ideas based on the Unhindered-way of two(二) and non-two(不二),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pretation of saddharma in 「Shèshòuzhèngfǎzhāng」 shows these characteristics very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