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息山 李萬敷의 學問形成과 交遊樣相 一考察 -嶺南 南人系 學人을 中心으로- (A Study upon Academic Achievements & Associations Made and Pursued by Lee Man Bu with the Nom De Plume of Siksan -Focusing on the pro-Namin scholars in Yeongnam-)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8.12
55P 미리보기
息山 李萬敷의 學問形成과 交遊樣相 一考察 -嶺南 南人系 學人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19권 / 375 ~ 429페이지
    · 저자명 : 김주부

    초록

    본고에서 연구할 息山 李萬敷(1664~1732)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기를 살아간 재야학자이다. 그는 생애의 전반기 34년은 한양에서 살았고 후반기 36년은 영남에서 보냈다. 식산가의 가계와 혼반관계를 살펴보면 근기와 영남지방의 남인계 명문가와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기지역은 성산이씨·삭녕최씨·전주이씨 등이고, 영남지역은 영천이씨·의성김씨·풍산유씨 등이다. 식산가의 학통은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유성룡 계열 및 근기남인계의 정구-허목-정시한 계열이고, 시문은 남인계 문인인 이민구와 조목을 계승하고 있다.

    식산과 영남남인과의 교유관계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상주권 서애계 학인과 교유이다. 식산은 유성룡의 증손녀와 혼반관계를 맺음으로서 상주 노곡에 이거하여 식산정사를 건립하고 강학한다. 교유한 사람은 유성룡·정경세·이준·전식 등의 후손들이고, 도학을 강론하여 풍속을 교화하려고 하였다. 또 상주로 찾아온 신유한과 이형상 등과 시문을 창수하고 서신으로 학문을 토론하였다. 문경으로 이주하면서 홍여하·이구 등의 후손 및 신필정·권상일·오상원 등과 교유하였고, 근암서원을 증축하여 도학을 강론하였다. 상주 북곽의 승곡으로 이주하여 조정과 노수신의 후예들과 교유하였고, 조천경과 노계원에게 자신의 학문을 전수하였다.
    둘째 안동권 갈암 이현일 계열 학인과 교유에서 조부 이관징과 이현일의 관계를 통해 재경시절부터 종유하였다. 식산이 영남으로 이거했을 때 안동지역은 김성일에 연원을 둔 갈암계 학인들이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현일이 1703년 귀양지에서 안동으로 돌아오자 식산은 자득하여 수립한 「天道有敬說」에 대하여 자문을 구하여 인가를 받고, 성리설에 대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식산은 1708년 『道東編』을 저술하여 자신의 학문적 관점을 피력하였고, 이재·권두경·김성탁 등과 교유하면서 이이의 이기설을 두고 학문적으로 대립하여 갈등을 야기하였다. 1732년 안동향교에서 『退陶先生言行通錄』 간행할 때 총괄 책임자였던 계부 이협과 함께 교정 작업에 참여하여 김성탁과 교유하게 된다.
    셋째 강우지역 남명 조식 계열 학인과 교유에서 강좌지역 겸허한 퇴계학과 강우지역 실천적인 남명학의 학문적 성향이 다름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식산은 영남지역 학풍의 장단을 파악하여 극단적이고 배타적인 입장보다 절충적이고 균형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교유하였다. 戊申之亂이 일어났을 때 식산은 檄文을 지어 창의를 돕고 아들을 창의에 가답하게 한 행동에서, 敬의 실천을 중시하는 그의 학문성향을 볼 수 있다. 식산은 1721년부터 1725년까지 덕천서원 원장을 지내면서 김성운 · 하세응 · 신명구 등과 교유하였다. 『식산집』에는 강우지역 인사들과 주고받은 편지와 강우지역 선현을 현창하는 많은 글이 실려 있다.
    식산 이만부의 학문형성과 교유관계의 일단을 검토한 결과, 35년간 영남에서 살면서 매우 복잡하고 다층적적으로 교유를 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식산의 교유양상을 영남남인에 제한하여 검토했기 때문에 근기남인과의 교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지 못했다. 허목 계열의 학문을 계승한 근기남인계 학자들과 당색이 다른 소론계 학자들과 교유양상은 차후 과제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Lee Man Bu with the nom de plume of Siksan addressed in this study was a scholar who had lived out-of-office lives for the years 1664 to 1732, of which the first 34 years found his growth in a city "Hanyang" while he lived in a province "Yeongnam" for the rest of the years thereafter. A careful observation of the genealogy and marital relationships of his family will make you see that it had related to pro-Namin noble families in provinces including Geungi and Yeongnam. Its scholastic mantle dates back to Yu Seong Ryong clique succeeding to Lee Hwang with the nom de plume of Toegye, and to Jeong Gu, Heo Mok and Jeong Si Han clique belonging to pro-Namin scholars in Geungi. When it comes to poettry and prose it pursued, it inherited Lee Min Gu and Jo Mok from pro-Namin schloars.
    Companionships made between Siksan and pro-Namin scholars in Yeongnam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its nature.

    The first is the one with scholars belonging to Seo Ae clique in a city "Sangju." He quit government service and moved to Nogok in Sangju by formulating a marital relationship to Yu Seong Ryong's great-granddaughter, so that he established a academic garden called "Siksan Jeong Sa" for studying and researching. Persons he made and enjoyed companionships with included the descendants of Yu Seong Ryong, Jeong Gyeong Se, Lee Jun, Jeong Sik, etc. He expounded Taoism to enlighten people by correcting public morals. He also enjoyed poetry and prose, and academically discuss by letter with a new Confucian scholar Lee Hyeong who visited Sangju. As he moved to a city "Mungyeong," he associated with the descendants of Hong Yeo Ha, Lee Gu, etc., and with Sin Pil Jeong, Gweon Sang Il, O Sang Weon, etc. He enlarged a private school "Geun Am Seon Weon" there to expound Taoism. Then, after he moved to Seungok around the northern of Sangju, he associated with the descendants of Jo Jeong and No Su Sin, and inherited his principles to Jo Cheong Gyeong and No Gye Weon.

    Second, he got along with scholars belonging to Galam (Lee Hyeon Il) clique in a city "Andong." Actually, he had continued to associated with them through relations with their grandfather Lee Gwan Jing and Lee Hyeon Il since he stayed in Hanyang. When he moved to Yeongnam, scholars belonging to Galam clique with its origin traced to Kim Seong Il had had great influences around Andong. In 1703 when Lee Hyeon Il was released and returned from his exile to Andong, he sought from him advice about a principle so called "Cheon Do Yu Gyeong Seol" he established by understanding a truth by himself from him, and obtained an approval from him to form a school of "Seong Li Seol." To express his own academic point of view, he wrote a book "Do Dong Pyeon" in 1708, and associated with Lee Jae, Gweon Du Gyeong, Kim Seong Tak, etc. But he academically conflicted on Lee I's principle "I Gi Seol" with them sometimes. In 1732 when he published and corrected a book called "Toe Do Seon Saeng Eon Haeng Tong Rok" with the youngest brother of his father Lee Hyeop in charge of doing so at Andong Hyanggyo a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he associated with Kim Seong Tak.

    Third, he associated with scholars belonging to Nammyeong (Jo Sik) clique in a region "Gangu," where he experienced an academic difference in nature between a modest principle "Toe Gye Hak" in a region "Gangjwa" and a practical principle "Nammyeong Hak" in Gangu. However, he adopted an eclectic and balanced position rather than an exclusive and extreme one between them by identify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academic traditions in Yeongnam. When a civil war during the 45th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called "Musin Ji Ran" broke out, he made a nationwide appeal in writing to help raise up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nd to made his son join the army, which shows his academic attitude toward thinking highly of putting a virtue of reverence into practice. Serving as principal of a private school called "Deokcheon Seo Weon" for the years from 1721 to 1725, he associated with Kim Seong Un, Ha Se Eung, Sin Myeong Gu, etc. A collection of his works Siksan Jip contains letters exchanged with scholars in Gangu and other writings extolling sages in the same region.

    A review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associations pursued and made by Lee Man Bu with the nom de plume of Siksan showed that he had made a wide range of complicated and multilateral associations for 35 years in Yeongnam. This study limited his associations to pro-Namin scholars in the same region, which suggests that those with pro-Namin scholars in Geungi wasn't concretely covered in the study. The future study will address his associations with pro-Namin scholars in Geungi inheriting academic traditions pursued by Heo Mok clique, and scholars belonging to "So Ron" clique with utterly different politically t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