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 5세반 음악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칭찬효과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eacher Compliment Effects during Music Activities in a Class of Five-Year-Old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9.06
32P 미리보기
만 5세반 음악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칭찬효과에 관한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23권 / 2호 / 309 ~ 340페이지
    · 저자명 : 방은영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반 음악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칭찬효과에 관한 탐색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T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5명과 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22주간 주 1회 각 40분씩의 음악활동을 관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음악활동 현장을 캠코더로 녹화, 녹음하였으며 녹화파일을 전사한 자료와 함께 교사면담일지, 수업메모노트와 음악활동계획안을 종합하여 질적 연구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만 5세반 음악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칭찬효과는 ‘유아의 음악활동 참여와 표현의 촉진’, ‘수업분위기의 전환’, ‘유아의 음악성취감 고취’, ‘유아 음악적 행동의 수정’, ‘교사와 유아를 하나 되게 하는 윤활유’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 5세반 음악활동과정에서 유아교사의 활동맥락에 적합한 칭찬이 효과적인 음악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mpliment effects of a teacher during music activities in a class of five-year-ol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 preschoolers in a class for western age 5 and their homeroom teacher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a district of Seoul. They were observed for 22 weeks, once a week, 40 minutes each, while they engaged in music activities. The music activities were recorded with a camcorder, and a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by piecing together the transcribed data of the recording file, a journal of interviews with the teacher, notes of the classes and activity plans. As a result, the complimen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produced the following effects during the music activities in the class of five-year-olds: "Boos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eschoolers in the music activities and their expressions," "shifting the class atmosphere," "instilling a sense of musical accomplishment in the young children," "correcting their musical behaviors," and "making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become one as a social lubrican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during music activities in a class of five-year-olds, context-specific compliments by teachers should be adopted as one of effective mus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