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오대산 五萬眞身信仰의 특징과 北臺信仰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Korean Odaesan Omanjinsin(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and the Changes in the Bukdae Faith)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0.03
32P 미리보기
한국오대산 五萬眞身信仰의 특징과 北臺信仰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62권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신라오대산은 선덕여왕 때 자장에 의해서, 중국 산서성 오대산의 문수신앙이 이식된 것이다. 그러나 신라오대산은 통일신라에 이르면 보천과 효명에 의해서 문수를 중심으로 하는 오만진신신앙으로 변모한다. 이는 중국오대산과는 다른 신라불교만의 특징이자, 당시에 유행하던 대승불교의 보살신앙을 통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지금까지 제대로 검토되지 못했던 오만진신신앙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것이다. 오만진신 구조와 관련해서는 민지의 『오대산사적기』와 일연의 『삼국유사』 속 기록이 전해지는데, 양자 사이에는 일부 상이점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오만진신신앙에 대해서는 일연의 기록을 중심으로 하고 민지의 것을 보충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민지의 기록에 보다 집중해서, 일연의 오만진신 구조 기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의 변화 양상과 타당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오대산의 동대에서 확인되는 관음신앙의 배경에 아축불과 약사여래도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북대의 오백나한신앙이 사실은 미륵신앙에서 변모한 것이라는 점이다.
    이 중 본고에서 중시한 부분은 북대의 신앙변화이다. 이는 북대 신앙의 중심이 오백나한이 될 경우에, 오만진신에서 5만이라는 숫자적인 정합성이 무너지며 오대가 모두 보살신앙 중심인 것과 배치(背馳)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민지의 기록에서 확인되는 미륵신앙의 모습이며, 이를 통해서 통일신라의 미륵신앙 요소가 고려 시대에 오백나한으로 변모된 정황을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오대산신앙의 변화양상을 통해서, 신앙구조 원형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

    영어초록

    Silla Odaesan (新羅 五臺山) was the mountain where the Manjusri Faith of Chinese Odaesan (五台山, Wutai Mountain) in Shanxi Province was implanted by Jajang (慈藏, 生594-599∼沒653-655)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from Silla Kingdom. However, during the Unified Silla, Odaesan was transformed into the place for the Omanjinsin Faith (五萬眞身信仰, 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faith in the manifestation of fifty-thousand bodhisattva and arhats), with Manjusri as a main figure, by Bocheon (寶川) and Hyomyeong (孝明).
    This paper examines the 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that has not been properly examined until now, based on the two records for the religious structure of the Faith: Minji (閔漬)'s Odaesan Sajeokgi (五臺山事蹟記) and Ilyeon (一然)'s Samguk 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 far, as for the 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Ilyeon’s record has been mainly studied and Minji’s was used just to supplement it. However, this paper will focus more on Minji's record,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the Ilyeon’s and also will summarize the phase of change and its validity.
    After this, it turned out that there exist Akṣobhya-buddha (阿閦佛) and Bhaiṣajyaguru-tathāgata (藥師如來) in the background of the Avalokiteshvara Faith, which is found in Dongdae (東臺, East Dae) of Odaesan, and that the Five Hundred Arhat Faith (五百羅漢信仰) of Bukdae (北臺, North Dae) was actually transformed from Maitreya Faith (彌勒信仰).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paper is the faith change in Bukdae. The problem is that the numerical coherence with the Fifty-thousand True Body is broken when the five hundred Arhats become the center of the Bukdae Faith, and it is also not coherent with the fact that all the five Daes centered on the Bodhisattva Faith. This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the Maitreya Faith found in Minji's records and, through this, we can judge the situation in which the elements of Maitreya Faith of Unified Shilla were transformed into Five Hundred Arhat Faith of the Gorye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