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滿殿春別詞의 名義와 性格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inscriptive and Character of Manjeonchunbeols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6.08
37P 미리보기
滿殿春別詞의 名義와 性格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2호 / 119 ~ 155페이지
    · 저자명 : 손종흠

    초록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는 매우 특수한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는 시가(詩歌)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형식적 특성이나 내용적 성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렇게 된 이유로는 첫째, 작품의 명칭이 가지는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점, 둘째, 작품의 형식적 통일성을 올바르게 찾아내지 못한 점, 셋째, 내용적 일관성을 밝혀내지 못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작품의 명칭에 대한 해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자 그것과 내용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 없게 되었으며, 내용의 일관성 역시 발견하기가 어렵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해석이나 이해가 난관에 봉착했던 것이다. 더구나 ‘만전춘별사’의 형식은 동일한 형태의 주기적 반복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문학적 형식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 통일성을 찾아낸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만전춘별사’는 작품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 특성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는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작품으로 취급되었고, 그러한 현상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만전춘별사’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작품의 명칭에 대해 정확하고 올바른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내용과 형식이 가지는 일관성과 통일성을 밝혀내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명칭은 대상의 본질을 함축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담아내고 있는 것이므로 이것을 통해 대상의 본질적 성격을 가장 정확하게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만전춘별사’의 내용과 형식에 가장 잘 부합하는 측면에서 명칭에 대한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작품의 문학적 성격을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사랑의 종말에 대한 노래’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만전춘별사’는 중국 송(宋)나라 때 성행한 사(詞)문학에 기반을 두면서도 음악성을 배재한 시문학의 양식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으로 첫째, 두 개의 장(章)이 마주보는 대련(對聯)의 형식, 둘째, 동일한 형태의 행(行)을 반복하는 형식, 셋째, 장의 마지막 구절(句節)을 반복하는 형식, 넷째, 사랑이 끝남을 알리는 징조, 사랑이 끝나는 순간, 사랑이 끝난 후의 상태를 소재로 한 화자의 정서를 표출하는 내용 등의 특성을 가지는 노래임을 밝혀낼 수 있었다.
    ‘만전춘별사’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작품이 지니고 있는 문학적 특성을 체계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민족의 노래인 속요(俗謠)가 간직하고 있는 예술적 아름다움을 한층 분명하게 밝혀내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Although ‘Manjeonchunbeolsa’ has a very specific form and content as a classical poetry,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 of ‘Manjeonchunbeolsa’ regarding its characteristics of content or form.
    There are several reasons. Firstly, failure to truly understand of the meaning of the name of ‘Manjeonchunbeolsa’, secondly, failure to properly figure out the formal unity of ‘Manjoenchunbeolsa’, and thirdly, there is the failure to find out the coherence of the content.
    The poor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name of ‘Manjoenchunbeolsa’ led to the failure to find out connection between ‘Manjoenchunbeolsa’ and its content and this condition resulted in difficulty to find out the coherence of the content. Therefore, eventually there was a difficulty to understand the whole interpretation or understanding of ‘Manjeonchunbeolsa’. In addition, it was not easy to find out its structural unity because the form of ‘Manjoenchunbeolsa’ shows noticeable difference with the form of general literature which has an identical conformation and regular and repetitive pattern.
    Thus, ‘Manjoenchunbeolsa’ has been continuously treated as difficult literacy work to make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through its unique characteristics.
    To address this issue, it is key point to find out the main cause that make it difficult to study and understand about ‘Manjoenchunbeolsa’.
    It is as a starting point for finding out the consistency and unity of form and content through attempting to right interpretation about the name of literature.
    As name of the literature includes the nature of the subject implicatively and comprehensively it is considered that an intrinsic attribute of the subject could be figured out through the name of the ‘Manjoenchunbeolsa’.
    Based on these ideas, this paper will attempt to interpret the name of the ‘Manjoenchunbeolsa’ by considering its content and form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cy writing.
    ‘Manjoenchunbeolsa’ can be construed as ‘the song for the end of love’. It is based on ‘SA’ literature in the ‘song’ dynasty and is made in the form of poetic literature regardless of musicality. Firstly, the two chapters are composed of distich format and secondly, there is a format that a row of identical conformation is repeated. Thirdly, there is a format that the last phrase is repeated. Fourthly, it can be found tha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are based on an expression of narrator's feeling about the sign, the moment and after the ending of love.
    This study about ‘Manjoenchunbeolsa’ can reveal its own literary characteristics via systemic and specific ways. Thus, this study about ‘Manjoenchunbeolsa’ is expected to become a good stepping stone to discover the artistic beauty of Sok-y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