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천만국가정원 내 작가 정원 식재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Tendency of Planting Design of Designer’s Gardens in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1.02
13P 미리보기
순천만국가정원 내 작가 정원 식재 경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49권 / 1호 / 70 ~ 82페이지
    · 저자명 : 정봄비, 최정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순천만국가정원 내 작가 정원의 식재 사례 분석을 통해 식재 설계의 경향성을 발견하여 향후 정원 식재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목 위주의 식재 관행이 여전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후박나무, 스트로브잣나무와 같이 크게 자라는 교목 식재는 정원의 규모(150~390m2)를 압도하고 있었다. 둘째, 수종 선정은 수목의 생리·생태적 조건을 우선으로 고려하기보다 작가의 의도나 장식적 효과를 우선 고려하여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초본류 가운데는 다년생 초화류의 식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개화기로 분류한 초화류는 여름꽃 식물이 가장 많았고,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화류의 화색은 황색, 백색, 청색, 적색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장은 중 초장(20~60cm)의 초본류(47.4%)가 가장 많이 식재되었다. 일곱째, 정원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적 식물은 주로 목본식물에 의존하고, 초점 식물은 주로 상록수를 활용하였으며, 중간 식물은 초본류를 주로 식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수종은 작가의 의도뿐만 아니라 대상지의 물리적·생태적 조건을 신중하게 고려해서 선정해야 정원의 질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둘째, 정원의 초점 식물, 중간 식물, 지피 식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초본류를 적극 식재하여 목본 중심의 식재 관행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겨울 경관을 고려하여 화색뿐만 아니라 열매나 줄기 등의 특징을 활용한 초본류 식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청색 계열, 흑색 계열의 초화류는 소량으로도 눈에 띄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적극적인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식물의 개체적 특성을 반영한 초본류 식재 설계를 위해서는, 목본 식재 설계와 같이, 개체를 독립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의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endency of planting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ting of designer's gardens in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garden planting desig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ractice of tree-based planting is still valid. Large growing trees such as ‘Pinus densiflrora’, ‘Celtis sinensis’, ‘Zelkova serrata’, ‘Machilus thunbergii’, ‘Pinus strobus’ overwhelmed the size of the designer's garden(150 to 390m2). Second, the selection of trees tended to be made considering the designer's intention and the decorative effects rather than by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the site. Third, among the herbaceous, the rate of the planting of perennials was high. Fourth, the flowering period of planted herbaceous was the most common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fall, and winter. Fifth, the frequency color of the planted herbaceous was the most common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fall, and winter. Fifth, in terms of flower color frequency, the most common was the yellow-series, followed by red-series, blue-series Sixth, average height herbaceous plants(20~60cm) were planted the most(47.4%). Seventh, structural plants that determined the garden's framework depended on trees, and the focal plants mainly utilized were evergreen trees, and the midrange plants were the planted herbaceous plant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bov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o ensure the garden’s quality and sustainability, the selection of tre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not considering only the artist's intention but also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and ecological conditions. Second, herbaceous plan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e garden's focal plants, midrange plants, and ground covers, so more active herbaceous planting needs to be considered.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winter landscape, herbaceous planting using characteristics, such as fruits and stems, as well as flower color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blue and black color herbaceous plants have a noticeable effect even in a small amount, so it is necessary to plant them actively. Fifth, for the design of herbaceous planting, where the individual property of plants can be expressed, the desig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