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암과 고불총림의 역사적 위상 (Manam Jongheon and The Gobulchongrim’s historical stat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만암과 고불총림의 역사적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9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한상길

    초록

    이‌글은‌만암과‌고불총림의‌역사적‌위상을‌이해하는‌데‌목적이‌있다.‌이를‌위해‌그의‌위상을‌이해하는‌5개의‌개념을‌설정하였다.‌민족‌교육,‌포교‌활동,‌불교사‌인식,‌계율‌정신,‌그리고‌자립‌정신이다.‌일제강점기의‌억압에‌맞서‌학교를‌설립하여‌우리의‌언어와‌ 지리를‌가르치는‌것은‌민족‌정신이다.‌만암은‌조선의‌중세적‌전통에서‌수학하였지만,‌ 젊은‌청년들에게‌신식‌학문과‌산업‌지식을‌전수하고,‌도심지에‌포교당을‌운영한‌것은‌ 근대적‌포교‌의지의‌발로이다.‌도의국사를‌추모하고‌태고‌보우를‌종조로‌추대하는‌강한‌ 신념은‌투철한‌불교사‌인식이다.‌예불과‌의례,‌법의에‌대한‌철저한‌규정은‌투철한‌계율‌ 정신이다.‌그리고‌마지막으로‌고불총림의‌설립과‌운영은‌이상적‌승가공동체를‌실현하려는‌승가의‌자립‌정신이라고‌할‌수‌있다.‌ 만암은‌광성의숙을‌설립하여‌승가교육의‌근대화를‌추진하면서‌승속을‌망라한‌민족‌교육을‌감행하였다.‌광성의숙에서‌수학한‌여러‌인물들이‌백양사의‌포교와‌교육‌등을‌이끌어가는‌인물로‌성장하는‌선순환의‌결과를‌가져왔다.‌만암은‌불교의‌대중화를‌위해‌포교를‌중시하였다.‌포교당은‌백양사‌근대불교의‌시작이면서‌고불총림‌조직과‌운영의‌중요한‌요소였다.‌가정을‌이룬‌승려를‌호법중(護法衆)으로‌수용하여‌이들의‌제1‌소임을‌포교사라고‌하였다.‌이들의‌활동‌등으로‌제주도에는‌본산‌가운데‌가장‌많은‌26개소의‌포교당이‌활동하면서‌제주불교를‌부흥하는‌결정적‌역할을‌하였다.‌만암은‌한국불교의‌종조에‌대한‌명확하고‌투철한‌역사인식을‌지니고‌있었다.‌도의국사를‌‘한국불교‌선종의‌국조’로‌추앙하면서‌백양사에‌도의영각을‌설립하였다.‌만암은‌왜색불교가‌만연하는‌현실에서‌청규와‌지계를‌철저히‌실천하였고,‌반농반선의‌자립‌정신을‌실천하였다.‌일제강점기‌수탈과‌억압에‌시달리는‌현실에서‌승가와‌중생의‌상생‌방안을‌수행과‌노동의‌병행에서‌찾았다.‌이러한‌생산불교는‌출가자의‌본분인‌중생‌구제의‌또다른‌방편이었다.‌

    영어초록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tatus of Manam Jongheon and The Gobulchongrim,‌five concepts were established.‌The five concepts are national education,‌ dharma preaching,‌awareness of Buddhist history,‌the spirit of precepts,‌and the spirit of self-reliance.‌It is the national spirit to establish schools and teach our language and geography in the face of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though Manam studied in the medieval traditions of Joseon,‌he imparted modern academic and industrial knowledge to young men and Buddhist monks.‌In addition,‌operating a temple in the city was a manifestation of the will to spread modern Christianity.
    The missionary temples was the beginning of modern Buddhism at Baekyangsa Temple and w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Gobulchongrim.‌The monks who had formed families were accepted as dharma protectors,‌and their first duty was to be missionaries.‌Due to their activities,‌26‌missionary temples were active in Jeju Island,‌the largest number among the‌31‌main temples,‌playing a decisive role in the revival of Buddhism in Jeju.‌He had a clear and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founder of Korean Buddhism.‌Considering the fact that he designated Doui-guksa National Master as the founder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hen it was launched in‌1962,‌his historical awareness was a very pioneering vision.
    In a reality where Japanese Buddhism was prevalent,‌Manam thoroughly practiced the rules and precepts,‌ practiced the spirit of self-reliance by practicing Buddhism and labor at the same time.‌In the reality of suffering from exploitation and oppress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sought a way for the monks and citizens to coexist through the parallel practice of practice and labor.‌This type of labor Buddhism was another means of saving peoples,‌which was the duty of a mon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