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막새 편년 시론 -성주 법수사지 발굴조사 출토품을 중심으로- (Chronological Study on Convex Tiles at the Edge of Eaves in the Goryeo Period -Focusing on Articles Excavated from Beopsusa Temple Site, Seongj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고려시대 막새 편년 시론 -성주 법수사지 발굴조사 출토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와학보 / 2호 / 166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고려시대 막새를 편년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막새와 평기와 간의 접합 방식의 변화를 토대로 한 편년 안이다. 둘째, 기록이 남아있는 건물지의 창건 또는 중수 막새를 선별하여 문양의 변화를 제시하는 편년 안이다. 고려시대 막새 변화의 큰 흐름이 대강 그러함에 틀림없을 것이다.
    그러나 고려시대 막새의 세분된 편년 안은 여전히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존속 기간이 긴 건 물지에서 출토된 다양한 막새 중에서 창건 또는 중수 시점의 문양을 판단하는 근거, 유행 기간이 긴 문양 의 특성상 막새와 기년명 공예품 간의 문양 유사성으로 특정 막새 문양을 그 연대로 직결시키는 근거 등 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시 무엇보다 가장 큰 한계는 고려시대 막새 중에 연호명 기와가 거의 없 어서 편년의 근거가 부족한 데 기인한다.
    그런데 고려시대 평기와는 연호명 기와를 중심으로 한 편년 안이 수립되어 있다. 이에 이 글은 평기와 편년 안을 토대로 고려시대 막새 편년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 대상은 필자가 실견한 바 있고 평기와가 잔 존하는 고려시대 막새가 다소 출토된 성주 법수사지의 평기와 잔존 막새로 하였다. 먼저 평기와 편년 안 에 따라 평기와 잔존 막새들의 편년을 시도하였다. 그런 다음, 편년된 법수사지 막새의 문양이나 제작기 법과 유사한 막새를 더 찾아냈다. 이로써 성주 법수사지 출토 고려시대 막새 편년 안을 제시하였다. 하나의 유적을 대상으로 한 편년 시론이기 때문에 고려시대를 통시적·공시적으로 포괄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향후 다른 유적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시도들이 축적되어, 이 편년 안이 보완되고 편년의 근거 또한 더욱 명확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convex times at the edge of eaves in the Goryeo period were created largely by two methods. First, one chronological plan based on modifications of how to join them to plain roof tiles. Second, the other chronological plan to suggest changes in patterns by selecting foundation or remodeling convex tiles for building sites with remaining documents. There is no doubt that the convex tiles in the Goryeo period had been largely changed in that manner.
    The chronology plan subdividing the convex tiles created in the Goryoe period, however, still has many limits, since it has little grounds on which patterns at the periods of foundation or remodeling can be determined among a variety to convex tiles excavated from building sites which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and on which the certain pattern of a convex tile can be directly associated with its chronicle, given the similarity in patterns between convex tiles and dated craftworks, in spite of patterns characterized by the longer trend cycle. Above all, the most serious limit is derived from insufficient grounds of chronology, as there are little era named tiles among convex tiles created in the Goryeo era.
    The chronology plan for plain roof tiles created in the Goryeo period is, however, established around era named ones. This paper, therefore, attempts to chronologize such convex tiles, based on the chronology plan for the plain roof tiles. The targets include the remaining convex tiles jointed with plain roof tiles in Beopsusa Temple Site, Seongju at which a lot of convex tiles of the Goryeo period were excavated, and which the research actually observed. The convex tiles were initially tried to be chronologized according to the chronology plan for the plain roof tiles. Then, some convex tiles representing the similarity in patterns or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chronologized convex tiles were further elucidated. The resulting chronology plan for the convex tiles of the Goryeo period, excavated from Beopsusa Temple Site, Seongju were established.
    This study has many limits in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comprehending the Goryeo period, since it is a chronological research on just single relic. The current chronology plan and its grounds are expected to be complemented and more specific, as further studies on other relics are accumu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