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공간에서의 시각정보매체인 현수막 지정게시판 개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mprovement of Designated Banner that is Visual Information Media in Public Space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7.06
13P 미리보기
공공공간에서의 시각정보매체인 현수막 지정게시판 개선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2호 / 635 ~ 647페이지
    · 저자명 : 정희정

    초록

    공공공간에서 시각정보매체로 분류되는 현수막게시대는 과거 무질서한 불법현수막문화를 개선하기위하여 등장하여 운영되고 있으나 수요에 따른 공급이 부족하며 현수막 지정게시대는 넓은 판형으로 구성되어공공공간에서 경관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소상공인은 물론 영세한 자영업 종사자들의 홍보수단으로가장 손쉽게 활용되는 현수막은 필요에 의한 수요를감당하지 못하고 현수막게시대라는 제도화된 제한된공간을 벗어나 과거와 다름없이 가로의 경관을 해치고 있으며 사람들에게 시각적 피로를 주고 보행공간에서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가로환경에서유해한 매체이다.
    이에 공공공간에서의 시각정보매체인 현수막과 지정게시대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를중심으로 공공공간에서 시각정보매체인 현수막지정게시대와 불법현수막의 게시실태를 조사하고 전문가집단과 비전문가집단의 직접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비전문가집단 및 전문가집단간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정게시대를 조사하여 현수막에 표기된 문장을 조사 분석한 결과 소상공인들이나 영세한 자영업 종사자들이 생계를 위한 영업안내와 기관안내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색채분석결과로는 주변의 경관과 조화롭지 못하고 원색의 색채사용으로 도시의 경관과 미관을 저해하는 실태를 살필 수 있었다. 종합적인 연구결과 공공공간에서의 시각정보매체는현수막 지정게시대와 같은 넓은 판형에서 벗어나 전세계에 유례없는 현수막문화를 지양하고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다 체계적이며 효과적으로 개선된 정보게시대가 요구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영어초록

    Banner stands, which are classified as visual information media in the public space, have emerged and run to improve illegal banner installation disorderly.
    However, banner stands are in short supply compared to demand and banner stands block the landscape of public space as they are made in broad plate form. The demand for a banner, which is one of the easiest ways to advertise one’s business for small merchants and self-employed people, is much higher than supply so that banners move out of the institutionalized space called banner stand harming the landscape of streets.
    Banners have become a harmful media in the street environment that makes people visually tired and threatens the safety of pedestrians significantly.
    Under this circumstance,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banner stand and illegal banner installation in the public space was conducted focusing on Seoul and Gyeonggido area an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or expert group and non-expert group.
    After the survey,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between expert group and non-expert group.
    After the survey and analysis on the banner on a designated banner stand,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information on the banners is about business and introduction of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small merchants and self-employed people. The result on color analysis shows that colors on those banners are not in harmony with surrounding landscape harming the landscape and beauty of a city.
    A comprehensive study result shows that visual information media need to move out of the broad plate shape like a banner stand and avoid the culture of banner installation which does not exist in other parts of the world. It is also found that system that can actually communicate with citizens needs to be established requiring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information posting stand.
    Multi-faceted follow-up studies on the use of a smart system are required to be conducted in various fields for the communication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the public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