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장기 운전 정수처리용 Hollow fiber 저압 막 Autopsy 결과 분석 연구 (Research on Autopsy Results of over 10 Year Old Low Pressure Hollow Fiber Membrane from Domestic Water Treatment Plant)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9
11P 미리보기
국내 장기 운전 정수처리용 Hollow fiber 저압 막 Autopsy 결과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환경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환경공학회지 / 44권 / 9호 / 287 ~ 297페이지
    · 저자명 : 윤석민, 이영주, 김성수, 최한봉, 박노석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정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는 외압식 저압막(정밀여과막, Microfiltration) 여과 공정을 대상으로 각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 불균등으로 인한 막 오염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autopsy 과정으로 확인하고 막 오염물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10년 이상 정수 생산에 이용된 막을 대상으로 autopsy를 수행하였다. 그 방법으로 먼저 외피 케이스를 분해하여 육안 관찰하였다. 또한 새 막과 헤더 배관에서 위치가 상이한 10년 이상 사용한 막 모듈 fiber를 채취하여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촬영하여 공극의 크기 및 공극률을 조사하였다. 사용 막 오염물을 유기물과 무기물로 구분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 10년 이상 정수를 생산한 막 모듈 내부 오염 정도를 육안 관찰한 결과 유입구에서 가까운 No. 1 막 모듈 내부에 육안으로도 확인되는 검은색의 오염물로 오염되었다. 이에 반해 헤더 배관에서 가장 멀게 위치한 No. 10 막 모듈의 경우 오염물이 육안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10년 이상 사용한 No. 1, 4, 6, 8 그리고 10 MF 막 간에도 표면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결론 : 주기적인 물리적 및 화학세정을 하더라도 병렬로 배열된 저압막의 경우 각각의 모듈의 오염 정도가 서로 상이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유입헤더 배관을 중심으로 병열 배치된 막 모듈의 경우 위치에 따라서도 막의 표면 및 공극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membrane autopsy was performed for a parallel arrayed low-pressure membrane (microfiltration) filtration process that is actually applied to water treatment, to check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membrane fouling due to the uneven flow rate into each module. Also, membrane foulants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Methods : In this study, autopsy was performed for over 10 year old membranes used for drinking water purification. In this way, the outer casings of membrane modules at different positions were disassembled and visually observed. In addition, In addition, the size of the pores and the porosity were investigated by taking a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for the new and the used membrane module fiber samples in different positions from the header pipe. The used membrane foulants were classified into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and quantitatively analyzed. Results and Discussion : As a result of visually observing inside the membrane module that has produced drinking water for over 10 years, the inside of the No. 1 membrane module close to the inlet was contaminated with black foulan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 10 membrane module located farthest from the header pipe inlet, no foulants wer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lso, it was observed from SEM photograph results that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the surfaces among No. 1, 4, 6, 8 and 10 MF module fibers. Conclusion : Even after periodic physical and chemical cleaning, it was concluded that the fouling levels we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 parallel arrayed low-pressure membrane modules. In addition, the pore size distribution and porosities of the membrane modules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