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법시험에서의 답안지 작성 방법 위반에 대한 제재의 기본권 침해 여부- 헌재 2008. 10. 30. 2007헌마1281 결정에 대한 평석 - (Whether the basic right are violated by the sanctions for violating the method of writing the answer sheet in the bar examina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2.11
42P 미리보기
사법시험에서의 답안지 작성 방법 위반에 대한 제재의 기본권 침해 여부- 헌재 2008. 10. 30. 2007헌마1281 결정에 대한 평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3권 / 4호 / 11 ~ 52페이지
    · 저자명 : 정주백

    초록

    헌법재판소는, 사법시험에서 기재할 문항번호가 적힌 두 장의 답안지를 서로 바꾸어 기재한 경우에 전부 零點처리하도록 하는 시행규칙 조항에 대해 위헌이 아니라는 결정을 선고하였다.
    먼저 절차법적인 관점에서 살펴 보면, 권리보호이익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헌재가 위헌결정을 하더라도 청구인에 대한 불합격처분이 취소될 여지는 없기 때문이다. 즉 이사건에서 위헌 결정이 선고되더라도 청구인의 법적 지위가 향상될 여지는 없다. 그렇다면 권리보호이익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각하하는 것이 타당한 결론이다.
    직접성에 관한 법정의견은 전통적인 판례이론에 기반한 것이다. 이에 비하여 보충성을 전제로 한 반대의견의 입론은 전통적인 입론을 거부한다. 최근의 판례에서는 법정의견으로 제시되는 경우도 많다. 직접성이 법령에 근거가 없는 것이고, 직접성이 법령에 대한 소원에 요구되는 보충성의 특별한 요청이라면, 보충성의 문제로 이 문제를 해결하면 족할 것으로 보인다. 법령에 기한 처분이 존재한다면 그 처분을 다투는 구제절차를 거쳐야 한다.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헌재의 결론은 이해하기 어렵다.
    ‘채점의 신속성, 공정성 및 효율성을 확보’가 청구인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정당한 입법목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법조인으로서의 직무능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답안지를 바꿔써서 채점의 신속성을 저해하는 사람은 무조건 불합격처분을 하여야 한다는 것은 당사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하다.
    헌재는 이 결정에서 평등의 이슈를 다루었지만, 구별의 요소가 헌법 제 11조 제1항 後文에 열거되었다거나, 열거된 사유와 동등한 것이라는 점에 대한 논증은 누락되어 있다.
    아무리 좋은 점수를 얻었다 하더라도, 답안지를 바꿔 썼다는 단순한 과실을 이유로 불합격처분을 하는 것은 자기책임원칙에 반한다. 청구인의과실에 양에 비해 제재의 양이 지나치게 크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CCK) has declared the decision that a clause in the Enforcement Rule of the Korean Bar Examination Act stipulating that when answers to two disparate questions on the Korean Bar Examination are switched and recorded on the wrong answer sheets, answers to both questions are to be given a score of 0 points is not unconstitutional.
    First, when this decision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dural law, a question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interests of rights protection can be acknowledged is inevitable. This is because even if the CCK decides that the clause is unconstitutional, there is no room for retraction of the disposition of a failure to pass the examination on the claimant. In other words, even if a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is declared regarding this case, there is no room for enhancement of the claimant’s legal status. If so, then the valid conclusion would be to dismiss the case for the reason that the interests of rights protection were not acknowledged.
    The court opinion regarding the doctrine of immediacy was based on traditional precedent theory. In contrast, the argument of the dissenting opinion, which was premised on subsidiarity, rejected traditional arguments. In recent precedents, decisions have been presented through court opinions in many cases as well. If the doctrine of immediacy is ungrounded on laws and the doctrine of immediacy is a special request from subsidiarity demanded of complaints against laws, then it would be sufficient to resolve this problem as one of subsidiarity. When dispositions based on laws exist, remedial procedures contesting such dispositions must be undergon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CK’s conclusion that the clause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secur[ing] the promptness, fairness, and efficiency of grading” can be evaluated as a valid legislative purpose restricting the claimant’s basic rights. That an individual who impedes the promptness of grading by switching answers in recording them on the answer sheets must be categorically subjected to a disposition of a failure to pass the examination regardless of how outstanding his or her vocational skills are as a legal professional is excessively harsh on the party involved.
    Although the CCK addressed the issue of equality in this decision, it omitted demonstrations regarding the point that the element of discrimination was either enumerated in the latter part of Article 11(1) of the Constitution or equivalent to the reasons enumerated.
    A disposition of a failure to pass the examination on the examinee for the simple mistake of recording answers on the wrong answer sheets regardless of how high his or her scores are violates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The degree of sanctions is excessively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degree of the claimant’s mista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