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관련 이태원 기지국 접속자 정보수집에 관한 헌법재판소 2024. 4. 25. 선고 2020헌마1028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Critical review on Constitutional Court 2024.04.25. 2020 HunMa1028 Decision regarding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users of Itaewon base stations related to COVID-19)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코로나19 관련 이태원 기지국 접속자 정보수집에 관한 헌법재판소 2024. 4. 25. 선고 2020헌마1028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65권 / 3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장혜진

    초록

    헌법재판소는 2024. 4. 25.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2020. 5. 13. 질병관리본부장이 이동통신 3개사에 대하여 ‘코로나19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한 자료 제공 수정요청’이라는 공문을 발송하여 당시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한 이태원 지역 클럽 부근에서 2020. 4. 29. 20:00부터 2020. 5. 5. 08:00까지 기간 동안 30분 이상 체류한 기지국 접속자 정보(날짜별 이름 및 전화번호)를 회신하도록 요청하여 이를 수집한 ‘정보수집’행위에 대하여는 심판청구 당시 이미 정보수집은 종료되었고, 해당 정보는 모두 파기되었으므로 권리보호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각하’ 결정을 하였고, 둘째, 감염병 예방 및 감염 전파의 차단을 위하여 감염병 의심자 등에 관한 인적사항 수집을 허용하는 ‘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이하, “감염병예방법”이라 한다.
    제76조의2 제1항 제1호’에 대하여는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지 아니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합헌’ 결정을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헌법재판소 결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헌법재판소는 위와 같은 방식의 정보수집행위의 법적성질에 대하여 별도의 판단을 하지 않았으나, 그 법적성질은 ‘권력적 사실행위’라고 보아야 한다. 이는 헌법재판소 2022. 7. 21. 선고 2016헌마388, 2022헌마105ㆍ110ㆍ126(병합) 결정에서 5인의 헌법재판관이 (이 사건 정보수집행위와 거의 동일한 구조의) 수사기관 등이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이용자의 성명 등 통신자료의 제공을 요청하여 취득한 행위에 대하여 권력적 사실행위라고 판단한 점에 비추어 보아도 당연하다 할 것이다. 나아가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위와 같은 정보수집행위에 대하여 권리보호이익이 없고, 인적사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면서 특정 시간의 특정 기지국 접속자와 같은 조건을 부과하는 방법으로 위치정보까지 함께 파악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으나, 개별 사안의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른 법률의 해석과 적용의 문제이므로, 헌법적 해명이 긴요한 사항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는데, 이는 그동안 헌법재판소가 그동안 다수의 선례에서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있어 기본권 침해가 종료되어 주관적 권리구제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① 같은 유형의 침해행위가 앞으로도 반복될 위험이 있고, ② 헌법질서의 수호 유지를 위하여 그에 대한 헌법적 해명이 긴요한 사항에 대하여 심판청구의 이익을 인정해 왔었음에도 이에 대한 고려를 불충분하게 하여 적법요건이 흠결 되었다고 판단한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나아가 헌법재판소는 구 감염병예방법 제76조의2 제1항 제1호에 대하여 과잉금지원칙에 위반되지 않아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으나, 이는 헌법재판소가 개인의 신체, 신념, 사회적 지위, 신분 등과 같이 개인의 인격주체성을 특징짓는 사항이자 정보인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 스스로의 결정과 보호라는 중대성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기본권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또한, 결과적으로는 헌법재판소의 위와 같은 결정으로 인하여 앞으로도 정부가 또 다른 팬데믹 시대가 도래한다 하여도 손쉽게 ‘공문 1장’으로 사실상 위치정보와 결합된 개인정보인 인적사항을 무제한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 되어 버렸다. 결국 위와 같은 헌법재판소의 판단은 결국 감염병의 예방 등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정부의 개인정보 수집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보호 장치가 제대로 마련된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지나치게 소홀히 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unanimous decision on April 25, 2024 that the case of collecting information, where the director of Diseases Control Center sent to three mobile carrier companies an official letter called ‘Amended Request on information submittal for preventing spread of infectious COVID-19 diseases’ requesting information such as names and telephone numbers of people who stayed more than half an hour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9, 2020 at 8PM to May 5, 2020 at 8AM nearby clubs in Itaewon where the many confirmed cases occurred, and collected such information, dismissed in that the information collection was ended and destroyed and therefore none of interest for right protection existed. The Court further decided that Article 76-2 (1)1 of former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allowing the director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to prevent and control infectious diseases and block the spread of infection was constitutional because such article does not infring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nd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owever, the drawbacks to the above Constitutional decis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t decided on the legal nature of information collection behavior in the above means, but its legal nature should be viewed as ‘factual act by authority’. That is appropriated tak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 into consideration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in the case Constitutional Court 2022.07.21. 2016 HunMa 388, 2022 HunMa105ㆍ110ㆍ126(merged). decision that the act by investigation agency requesting information to and collecting it from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bout communication data such as user’s names (as substantially same structure as collecting information in the above case) was factual act by authority; further,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is case (2020 HunMa 1028) views that such behavior collecting information has no interest for right protection, and it is questionable whether collecting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allowed together with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imposing the same conditions as base station accessors, but it is a matter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 based on the specific facts of individual case and constitutional clarification is not necessary. The Constitutional Court stands in many precedents that there are i) at risk of repetition of similar infringement in the future and ii) critical reason for constitutional explanation to save and support constitutional order, even though subjective remedy in right is not very helpful due to ending of infringement on the fundamental right.
    As discussed earlier,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Article 76-2(1)1 of the former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did not infring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due to non-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owever, it is subject to criticism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wouldn’t consider enough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s fundamental right having significance in person’s own determination and protection on personal information characterizing personal identity such as body, belief, social class, identity. Further, such decision ultimately made the authority possible to collect unlimited personal information readily combined with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base station of mobile carriers by so to speak ‘a one-page official letter’ in another pandemic in the future. Such decision can be evaluated as neglecting the concerns on necessary protection at least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by authority for the purpose of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