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 속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병신과 머저리」에 대한 정신분석적 독해:트라우마 치료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Guilt’ Shown in the Literature -Psychoanalytic Perspectives on 「A Fool and an Idiot」: Focusing on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es in Traum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0.12
46P 미리보기
문학 속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병신과 머저리」에 대한 정신분석적 독해:트라우마 치료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68호 / 351 ~ 39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애

    초록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여러 가지 외부에서 일어나는 대형 사고나 대규모 참사 및 개인적인 사건 등 크고 작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말미암아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다. 이것을 우리는 흔히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라고 부른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라우마의 문제를 이청준의 소설 「병신과 머저리」를 통하여 살펴보고 문학에서는 트라우마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를 분석해 낸 후, 문학이 트라우마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문학치료’의 가능성도 아울러 점검해 보려고 하였다.
    본고는 이청준의 작품 「병신과 머저리」의 독해를 통하여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는데 그 이유는, 이청준의 소설에는 정신분석적 해석을 요하는 문제가 특히 자주 등장할 뿐 아니라, 그는 소설에서 이러한 정신분석적인 문제에 깊이 천착하여 남다른 통찰력을 보여준 작가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논문은 「병신과 머저리」의 분석에 있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중에서도 특히 ‘죄의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독해하였고 소설 「병신과 머저리」에서 드러난 죄책감의 형성과정과 죄책감의 심역이 자리잡게 되는 메커니즘을 진실과 무의식, 애도, 멜랑콜리의 차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병신과 머저리」의 등장인물을 분석하여 인물들의 삶 속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죄의식’과 관련을 맺고 있는지, 트라우마와 ‘죄의식’의 관련양상을 통해 죄의식의 형성과정과 그 심역을 밝혀냄과 동시에 죄의식과 애도 및 멜랑콜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글쓰기’ 내지 ‘그림그리기’ 등의 창조적 상징화 작업, 즉 예술행위가 어떻게 트라우마의 심리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문학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문학 작품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인간의 심리적 현실을 잘 반영하여 정신분석의 주요 기제인 히스테리나 강박, 불안, 죄의식, 멜랑콜리, 애도와 같은 인간의 심신적 메커니즘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modern society, humans experience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trauma because of small and large shocking events such as major incident, massive disaster, or personal accident variously happening outside. This is commonly called trauma.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issue of this trauma in Lee, Cheong-Jun’s novel 「A Fool and an Idiot」, to analyze how the issue of trauma has been approached in the literature, and then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treatment of trauma.
    This thesis aimed to perform this work by reading Lee, Cheong-Jun’s work 「A Fool and an Idiot」 because Lee, Cheong-Jun’s novels frequently show the psychoanalytic issue, and he is an author showing an extraordinary insight into this psychoanalytic issue in his novels.
    Also, in the analysis of 「A Fool and an Idiot」, this thesis read it especially focusing on the issue of ‘guil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so aimed to approach the process of forming a guilt and change of mind shown in the novel 「A Fool and an Idiot」 in the dimension of truth, unconsciousness, condolences, and melancholy. Thus, this thesi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rauma and ‘guilt’ of characters by analyzing the characters of 「A Fool and an Idiot」, revealed the process of forming a guilt and change of mind through the aspect of relation between trauma and ‘guilt’, examined the relations of guilt, condolences, and melancholy, and also examined how the artistic acts as creative symbolic acts like ‘writing’ or ‘drawing’ could contribute to the psychotherapy of trauma.
    This discussion is originated from a perspective in which ‘literature is the unconsciousness of psychoanalysis’. The literary works are good enough to be called the ‘unconsciousness of psychoanalysis’ because they fully show humans’ psychological mechanism such as hysteria, compulsion, anxiety, guilt, melancholy, or condolences which are the main mechanisms of psychoanalysis, by fully reflecting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hum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