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한 입법규제의 딜레마 : 헌법재판소 2023. 9. 26. 선고 2020헌마1724·1733(병합) 결정에 대한 평석 (Dilemma of Legislative Reg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12
21P 미리보기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한 입법규제의 딜레마 : 헌법재판소 2023. 9. 26. 선고 2020헌마1724·1733(병합) 결정에 대한 평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 / 16권 / 4호 / 50 ~ 70페이지
    · 저자명 : 김선일, 백남설

    초록

    지난 9월 26일 헌법재판소는「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상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을 선고하였다. 이로써 2000년대 이후 점차 심화되어 왔던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와 그 규제를 둘러싼 국·내외의 첨예한 대립 문제가 일단락되는 모양새다. 정부 역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발맞춰 다양한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가 표현의 내용에 대한 제한인지 아니면 표현의 방법에 대한 제한인지를 두고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견해가 나뉘었다. 어느 것으로 해석하는가에 따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7인의 위헌의견은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를 표현의 내용에 대한 제한으로 보면서 그 제약에 있어서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설시하였다. 그러면서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해 형사처벌 등으로 규제하지 않더라도「경찰관직무집행법」제5조 제1항의 적용 또는「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상 신고제와 유사한 제도의 도입을 통해 표현의 자유를 보다 덜 제약할 수 있는 수단들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즉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조항은 침해최소성원칙 등에 위배된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렇지만 대북전단등 규제조항이 위헌으로 선언되었다는 것과 별도로, 향후 전단등이 북한으로 계속해서 살포될 경우 남북간 긴장 고조 및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전 문제는 계속 제기될 수 있다. 또한 향후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의 규제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정치 또는 안보 환경이 조성된다면, 헌법재판소가 위헌결정의 이유로 제시하고 있는 사항들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형태의 입법적 규제를 시도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의 위헌의견이 제시하고 있는 표현의 자유를 보다 덜 제약할 수 있는 수단들에 대한 규범적·현실적 측면에서의 검토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 요지를 살펴보고,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의 규범적·현실적 한계 – 특히「경찰관직무집행법」제5조 제1항의 적용 또는「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상 신고제와 유사한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 를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On September 26, 2023,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unconstitutional the provisions regulating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under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s a result, the issue of the sharp conflict at home and abroad surrounding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and its regulations, which has gradually worsened since the 2000s, appears to be coming to an end. The government also appears to be taking various follow-up measures in line with the above Court's decision to find it unconstitutional.
    Meanwhile, the opinions of the above Court judges were divided on whether the reg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was a restriction on the content of expression or a restriction on the method of expression. Depending on how you interpret it, the degree of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may vary. In particular, the seven people's unconstitutionality opinion viewed the regu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as a restriction on the content of expression and argued that strict standards should be applied to such restrictions.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against North Korea is not regulated by criminal punishment, freedom of expression is prot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ticle 5, Paragraph 1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or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similar to the reporting system under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t was believed that there were less restrictive means available. In other words, it took the position that the provisions regulating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against North Korea violate the principle of minimal infringement.
    However, apart from the fact that the anti-North Korea leaflet regulations were declared unconstitutional, if leaflets continue to be distributed to North Korea in the future,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ill increase and safety issues for residents in the border area may continue to be raised. In addition, if a political or security environment is created in the future that actively supports regu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the removal of the matters presented by the above Court as reasons for its decision to be unconstitutional and then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a new form of legislative regulation won’t be completely excluded. Therefore, a review of means that can less restrict freedom of expression suggested by the above Court's unconstitutionality opinion is required from a normative and realistic perspective.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gist of the above Court’s decision and analyzed and evaluated the decision of the above Court, focusing on the normative and realistic limits of regulating act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to North Korea -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Article 5, Paragraph 1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or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similar to the reporting system under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 and then drew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