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각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에 관한 연구 - 헌재 2009. 5. 28, 2006헌마285 결정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Voting Right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0.02
23P 미리보기
청각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에 관한 연구 - 헌재 2009. 5. 28, 2006헌마285 결정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1권 / 1호 / 487 ~ 509페이지
    · 저자명 : 김명수

    초록

    헌법재판소는 청각 장애인에게 후보자, 언론, 선거방송토론위원회 그리고 정당이 실시하는 선거정보접근권을 주기 위하여 자막방송 또는 수화통역을 규정한 「공직선거법」제70조 제6항 등이 청각장애 선거인인 청구인들의 참정권 등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했다. 헌법재판소는 결정문에서 심판대상조항이 입법자의 입법형성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청구인들의 참정권, 평등권 등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는 정도의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헌법재판소는 심판대상조항이 임의규정은 아니지만 이 조항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선거에 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청구인의 의견으로 청각 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하려면 후보자의 선거의 자유와 방송의 자유·편성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한다는 논거를 제시했다. 하지만 법해석 상 장애인에 관한 기본권을 보장하는 법률의 경우 「장애인차별금지법」을 기본법으로 해석해야하므로「공직선거법」보다 먼저 적용되어야 하며, 장애인 기본권은 권리의 실현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비장애인과는 다른 매개체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 역할을 하는 권리가 바로 접근권이다. 본 심판대상조항은 바로 이러한 선거정보에 관한 접근권인데 이를 다수의견처럼 의무규정이나 ‘정당화사유’가 존재하여 이를 입법자의 ‘입법형성의 자유’라고 해석한다면 장애인의 권리실현은 요원해진다 할 것이다. 또한 상충되는 기본권을 규범조화적 해석에 따라 살펴본다면 청각장애인의 선거정보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이 후보자의 선거의 자유와 방송사업자의 보도·편성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보다 비례의 원칙 적용에 합치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를 다수의견으로 해석하는 한, 청각장애인의 선거정보접근권을 침해하는 위헌적인 판단이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made a decision that an article 70 section 6 of "election law" do not violate the basic cconstitional right such as political right and constitutional equalty on the reason of not regulating obligatory for broadcating company to conduct a broadcasting with subtitles or with sign laguage interpretation when they produce the election broadcast. This law is designed to support the disabled to realize there rights to access to election informations that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candidate, media organizations and the commetee on election-broadcasting-discussion. Main reasoning of the decision is based on that the questioned article 70 section 6 is not the obligatory but the optional, at the same time the handicapped can access to election informations other ways as well, and the freedom of candidate's election right and broadcaster's broadcasting right, such as the freedom to organize and present a broadcast, could be restricted by guaranting the handicapped's election right.
    As following strict interpretation, however, the law on "ban on disability discrimination" is prior to the "election law" in term of ensureing basic right of the disabled, and for realizing this basic right special media or means must applied first. critical importance for realizing the special media or means is to guarantee the right of access and the questioned article is the one for this, namely the access to the election informatin. thus realizing the right of the disabled will be sitll far-off, if this article were the optional. and again, even respecting the propotionality is quite clear that ensureing the right of acces to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has priority to the candidate's freedom of election or brodcaster's freedom of broascasting. Therefore this article will be unconstitutional, when if it is intepretated as the optio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