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특별법상 교육의원 피선거 자격제한 기각결정(2018헌마444)에 대한 판례 분석 (A Study on Constitutional Court's Case of Qualifications to be Elected as Education Members of Local Council on Jeju Special Ac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1.08
25P 미리보기
제주특별법상 교육의원 피선거 자격제한 기각결정(2018헌마444)에 대한 판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법학연구 / 33권 / 2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고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원 피선거 자격 규정을 통한 주민의 공무담임권 제한에 대한 위헌확인 심판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고 입법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헌재는 주민이 청구(2018.4.30)한 제주특별법 제66조 제2항(교육의원 후보자의 피선거 자격으로서 5년 이상의 교육 또는 교육행정 경력 조건)에 대한 공무담임권 침해 주장을 기각했다. 이 자격 제한은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고 지방자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헌법재판소는 입법재량의 범위 내의 공무담임권 제한으로 보았다.
    판례 논의의 준거로서 헌법상의 공무담임권 제한의 입법한계인 과잉금지의 원칙을, 평등권 침해 관련해서는 엄격한 심사척도인 비례성의 원칙을, 그리고 법규범과 법현실 간의 간극을 조명하는 교육법학적 접근 등을 통해 실효성 있는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헌법재판소는 교육의원 피선거 자격 제한의 입법목적이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보장 일환으로서 정당하고 수단이 적합하며, 일반 지방의원으로서 교육위원회 길을 열어놓고 있어 침해를 최소화했고, 교육의원제로 인해 확보되는 공익과 공무담임권 제한 간에 현저한 불균형이 없어 기각결정을 했다. 다만, 교육의원제의 헌법적 가치나 제주특별법의 특수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 특히, 선거결과 당선인의 특징이 교육계 고령의 기관장에 편중되고 최근 무투표 당선 증가로 기득권화가 우려되는 법 현실 측면에서 이 규정의 규범적 타당성 외에 사실적 실효성 논의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특히, 교육경력자 후보로 기대되는 현직교사가 입후보 할 수 없는 이유는, 당선 후 사직 의무조건과 교육자로서 감당하기 어려운 선거 운동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교육 및 교육전문가에 의한 교육의원제의 실효성을 떨어트리고 특정집단에 편중케 하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현직교원 당선 후 휴직제 도입과 완전선거공영제 및 교육단체에 의한 매니페스토를 제언했고, 교육민도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CCK’) case. This Case(2018 Heon-Ma 444) is a precedent for Article 66 paragraph 2 of the Jeju Special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JSA’). Namely, it is a CCK's Cases of Citizen’s Rights to hold public office(hereinafter referred to as ‘RPO’). The constitutional trial of this restrictions on eligibility as candidates(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 was brough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by Jeju civic groups.
    The criterion for judgment is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principle of equality before the law. This Article 37② is the principle of limiting basic rights(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Even when such restriction is imposed, no essential aspect of the freedom or right shall be violated.). The main issue is whether the terms of more than five years of education 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experience(Article 66②) violate the Constitution.
    The CCK's all opinion decided that it was not against the Constitution, because this regulations of REC fall under the discretionary policy of the legislatu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REC is to ensure Article 31(4) of the Constitution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members of local council system, which requires educational background, is 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spirit and the Education-autonomy of JSA. Second, the relevant leave of absence rules should be changed so that ordinary young teachers can become education members of local council. Finally, the Jeju Provincial Council will be resisted by Jeju residents unless retired education officials are prevented from monopolizing the post of Education Members of Local council for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