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쟁 트라우마, 감각적 고통, 반전(反戰)의 미학-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1930)- (War Trauma, Sensory Suffering, and Represenstation of the Anti-War Film,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1930))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2.03
31P 미리보기
전쟁 트라우마, 감각적 고통, 반전(反戰)의 미학-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1930)-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9권 / 165 ~ 195페이지
    · 저자명 : 최용찬

    초록

    본 연구는 1930년의 전쟁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에 나타난 ‘전쟁 트라우마’(Kriegstraumata)에 의한 참전 세대의 감각적 고통을 재현하는 방식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특히 참전 병사들의 전쟁 트라우마에 의한 총체적 파괴 과정을 재구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 레마르크 소설에서 제시된 실마리를 따라, 본론 2장에서는 참호병과 전쟁 트라우마의 청각적 고통, 3장에서는 포격 공포증과 전쟁 트라우마의시각적 고통, 4장에서는 전선 조광증과 전쟁 트라우마의 촉각적 고통을 나누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제1차 세계대전의 참전 세대가 몸소 겪은 전쟁 트라우마의 감각성, 곧 청각성, 시각성, 촉각성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이 영화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참전 병사들이 경험한 전쟁 트라우마의 보편적, 심리적, 정신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별적, 감각적, 신체적 차원까지 모조리 재현하는 데 성공한 최초의 반전영화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대목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위의 세 가지 전쟁 트라우마와 세 가지 감각적 고통이 제각각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제1차 세계대전의 참전 병사들은 모두 다 전쟁 트라우마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고, 너나 할 것 없이 신체의 감각적 고통에 시달렸다는 사실을 영화는 상기시켜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마일스톤의 영화는 전쟁 유탄이 인간의 신체 감각에 미치는 다양한 트라우마 증상을 통해 참전 세대의 일반적, 심리적, 정신적 파멸성뿐만 아니라, 개별적, 감각적, 신체적 파괴성 차원까지 철저하게 구명해낸 최초의 반전영화라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을만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filmic ways to represent the sensory suffering of the young generation participating into World War I by the war trauma, which appeared in the 1930 war film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In particular, the main goal is to reshape the process of total destruction by war trauma of veterans. Following the clues presented in the Erich Mariaq Remarque’s famous war novel, it should be differently analyzed firstly trench disease and their aural pain in Chapter II, secondly, shelling phobia and their visual pain in Chapter III, and thirdly frontline dimming and their tactile pain in Chapter IV. These analysis specifically revealed their sensory, auditory, visual, and tactile nature of the war trauma experienced by the veterans of World War I. As a result, it should be confirmed that the film was the first anti-war film to be successful in reproducing not only the universal, psychological and mental dimensions of the war trauma experienced by veterans in World War I, but also individual, sensory, and physical dimensions. More importantly, the above three war traumas and three sensory pains were and are not separated. In other words, the film reminded us that all the world war veterans in those days were exposed to any kind of war trauma and suffered the sensory pain of the body. Therefore, Milestone’s film deserves high regard for being the first anti-war film to thoroughly reveal not only the general, psychological, and mental ruin of the veterans, but also the individual, sensory, and physical destructive dimensions through the various trauma symptoms of the war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