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의 영화 <교사형>에 나타난 생소화 효과 (The V-Effeckt applied to the directed by Oshima Nagis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의 영화 &lt;교사형&gt;에 나타난 생소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 / 31호 / 41 ~ 60페이지
    · 저자명 : 박동호, 김겸섭

    초록

    오시마 나기사(大島渚)는 전후 일본영화에서 조선/조선인에 대한 문제의식을 지속적으로 표명해 온 감독이다. 특히 이진우 사건을 모델로 제작한 영화 <교사형(絞死刑)>(1968)은 조선/조선인에 대한 그의 사고가 가장 잘 나타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오시마 나기사는 이 영화에서 원죄사건으로서의 가능성을 제기하는 기존 예술텍스트와는 달리 ‘현실과 공상’의 경계가 모호한 삶을 살아간 재일조선인 청년의 범행 ‘동기’에 주목한다. 특히 국가권력이 시행하는 사형제도의 폭력성과 전후 일본사에서 부당하게 은폐되어 온 재일조선인 문제를 통해 현실과 영화의 상관성을 부각시키면서 일본/일본인의 정체성을 되묻고자 한다. 오시마 나기사는 고전적이면서도 난해한 영화의 테마를 구현하기 위해 브레히트(Bertolt Brecht) 서사극(the epic theatre)의 핵심인 생소화 효과(V-effekt)를 차용한다. 본고에서는 브레히트적 기법을 통해 주류 영화의 관습적인 서사체를 극복하고자 했던 오시마 나기사 특유의 시네마 전략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그가 영화의 테마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관객의 분발을 촉구하기 위해 생소화 효과를 어떻게 적용하였고, 이러한 기법들이 작품에 대한 해석적 지평을 어떻게 배가하고 있는지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로써 우리는 하나의 스캔들로만 소비되는 어떤 역사에 대한 새로운 지평과 해석의 가능성을 획득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Oshima Nagisa is a film director who treats Zainichi issues consistently among the post war Japanese film directors. His film <Koshikei, Death by Hanging> (1968) motivated by ‘Jinwoo Lee’s case’ is considered as conveying his feeing concerning Joseon/Joseon people very well. Most of artistic texts deal ‘Jinwoo Lee’s case’ with the possibility of falsely accused case but <Koshikei, Death by hanging> directed by Oshima Nagisa shows difference. He fixes his sight upon Jinwoo Lee’s motive and details over the case who is in the blur lin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He highlights corelationship between a reality and the film through a violence of death penalty enforced by nation and a Zainichi issue which has been unduly hidden from post-war Japanese history and asks people back the identity of Japan/Japanese. Oshima Nagisa uses V-Effekt (Alienation effect) which is a core point of Bertoly Brecht's Das Epische Theater (The Epic Theatre) to embody a film's classical but abstruse theme. In this study, we focus on Oshima Nagisa's cinema strategy which overcome a conventional major film's narrativity using Brecht's technique. Especially, we demonstrate how he applies V-effekt to deliver film's theme effectively and to bring audience's action out and how those techniques enlarge a prospect of film's interpretations. With this, we can acquire a possibility of a new prospect and interpretation for a one history which is consumed as a kind of scand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글로벌문화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