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於于野談』 소재 鬼神譚의 트라우마(trauma)적 성격 (Traumatic Characteristics of Gwishin Narratives in Ou yada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08.09
36P 미리보기
『於于野談』 소재 鬼神譚의 트라우마(trauma)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63호 / 227 ~ 262페이지
    · 저자명 : 윤혜신

    초록

    17세기 초 저작인 「어우야담」에는 전대 귀신담과 질적으로 다른 귀신담이 상당 편 있다. 귀신은 정체성이 불분명하며 특정 목적 없이도 人世에 출현한다. 전대 귀신담에서는 특정 개인에게 특정 귀신이 나타났지만, 「어우야담」 귀신담에서는 특별히 만날 이유, 개연성 없는 두 주체가 조우하는 경우가 늘었다. 이러한 귀신담에서는 만남이 이루어져도 특별한 교류가 없으며 전대의 귀신담처럼 逐鬼나 惑鬼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귀신을 만난 인간은 파괴, 폭력 같은 요인이 없는데도 불안에 싸인다. 불분명한 가운데 분명히 드러나는 서사적 사실은 귀신의 존재와 實存이다. 이 사실은 發覺의 플롯을 통해 구현되며 이 플롯은 對比의 효과를 낸다. 이러한 경향과 성격을 지닌 귀신담은 「어우야담」에서 한 범주를 이룬다.
    현대의 우리는 귀신을 만난 인간의 불안을 당연히 여길 수 있으나 서사의 전통에서 불안의 정서가 記述된 예는 「어우야담」 전 시대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귀신담 서사의, 이와 같은 경향과 성격은 정신분석학상의 트라우마(trauma, 외부사건과 내부충격이 결합되어 발생한 무의식으로 내재된 정신적 상처)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트라우마는 물리적·가시적 고통이 아니라 정신적·비가시적인 고통으로 한 번 생성되면 해소되기 전까지 위험 상황에서 재현되는 특징을 지닌다. 「어우야담」의 일부 귀신담은 해소되지 않은 해소되지 못한 정신적 상처로서 ‘트라우마’의 磁場 아래에 있다. 귀신의 정체성, 등장인물과 사건의 성격, 종결 방식, 플롯, 修辭 같은 서사의 구성요소에서 트라우마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문학적 진실과 역사적 사실이 무관하지 않은 바, 일련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지닌 귀신담이 형성된 사실은 개인적, 개별적인 사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보편적, 역사적인 동인에 의해 촉발된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사회 보편적으로 트라우마를 촉발할 정도의 외부사건을 당대 사회에서 찾아보면 16세기 말 대규모로 죽은 자를 발생시킨 임진왜란(1592~1598년), 정유재란(1597년) 같은 전란을 찾을 수 있다. 임진왜란의 고통은 귀신담 외에 많은 이야기에서 전한다. 더욱이 편저자 유몽인은 임진왜란에서 친형과 친척, 知人을 잃는 아픈 경험을 했고 이를 통해 정서적 평형을 잃고 가치관의 균열을 경험한다. 논리상, 「어우야담」 귀신담의 트라우마는 등장인물의 트라우마가 아니라 편저자와 작품외부 주체의 트라우마가 재현된 것이다.
    귀신담의 트라우마는 세 유형의 이야기에 나타난다. 인간과 귀신이 소통하여 귀신이 트라우마를 해소하고 解寃하는 ‘해원담’ 유형, 서로 소통하지 못하여 귀신과 인간, 두 주체의 욕망이 결핍으로 영구히 남는 ‘존재 노출담’ 유형, 귀신은 파괴의 목적을 가지고 나타나지만 성공하지 못하여 人世에 반복 회귀하는 ‘파괴담’ 유형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lots of Gwishin(Korean ghost) narratives in Ou yadam, a book written in 1623 by Yu Mongin. Those narratives were ones collected by Yu from his neighborhood, friends, servants and some also stem from his own experiences.
    New characteristics in the narratives can be arranged into two. One is traumatic narrative and the other is human and ghost's affection narrative. This essay focused on the first.
    Compared with the previous Gwishin narratives, characteristics are newly found. The identity of the Gwishin is not clear. The origin, gender, its shape is indeterminate. And opposed to previous works, the Gwishin has no particular reason for manifesting it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and the Gwishin is unfamiliar, that is, they have not known each other before. Therefore they have no reason to meet. But the encounter is not avoidable.
    In previous Gwishin narratives, the identity of the Gwishin is known. The Gwishin is known to have been a certain human being, dead acquaintance or buddhistic/ shamanistic spirit etc. The gender of the ghost is recognizable and its form is a human one. And there are particular reasons for the ghost's manifestation, like solving unresolved business left on Earth that the Gwishin could not manage without asking a human being's assistance. In Gwishin stories previous to Ou yadam, the human and the Gwishin were previously acquainted.
    According to psychoanalytic theory, the combination of an external incident and internal impulse causes a psychic trauma which makes anxiety. Yu suffered from psychic trauma during the Imjin War, since his elder brother was killed by a Japanese soldier. He mourned for the loss of his brother and thought about destiny, embodied by the Sky, Cheon(天). Yu realized that the Heaven's will is unjust. Under this condition, his psychic trauma caused Yu to lose his mental equilibrium.
    Years long war caused broad societal trauma in Chosun. It lost equilibrium on a national scale. Its literary production is a reflection of this atmosphere. Contemporaneous records on war-time suffering appeared in several Mongyurok, e.g. Dream-Journeys, Solider's diaries. In the former, Gwishin voiced their grievance and agonies themselves. The suffering displayed in Mongyurok is due to the physical hardships of war, not latent trauma.
    Even though we modern people take it granted for anxiety after meeting ghost, the previous literary history scarcely shows anxiety in Gwishin narratives. Protagonist loses mental equilibrium after realizing a fact of the existence of unknown world and the consequent emotion is an anxiety. In Ou yadam, without the destructive behavior by Gwishin, just a realization of the existence of being unfamiliar, and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incapability of handling of the situation increased anxiety compared with the previous's. Anxiety erupts only when the person senses a threat or a danger from the object. If no physical threat or danger caused anxiety, the anxiety is traumatic one caused by previous trauma which is not resolved.
    But in the narratives, the protagonist did not have previous encounter. Then, logically the trauma of the protagonist can not be the protagonist's but outside perspective's of the society. The outside perspective's of the society is survivors's. They sees the deaths in the eye of the dead and moved their trauma into Gwishin. So the characteristics of Gwishin can be sai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uma of the survivors. And the characteristics is not simple but complicated.
    Most types of traumatic narrative are Resolving type, Reminding type, Destructive type. In the Reminding type, the encounter does not mean successful communication. The protagonist can not understand what the Gwishin desires. And Gwishin has no language to emit its desire. The protagonist's desire is to know Gwishin's desire but has no clue. Besides, the characteristic of the Gwishin, e.g., identity, shape and gender is obscure. So the protagonist's desire becomes a lack of him. In the case of Gwishin, the encounter gave any resolution, it repeats appearing but it has no language to send its desire to humanbeing. It mean it can not overcome the trauma yet. The plot of the Reminding type is exposure, which effectively reveals Gwishin's exist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resolving type, the Gwishin has its language to show its desire. The protagonist and Gwishin get along and communicate well. So, The Gwishin resolves its old desire which was a lack.
    In the destructive type, ceaselessly Gwishin tried to destruct a man's sound status, though it has not been success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