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그리스도 닮음의 실천적 함의 (Therapeutic Implications of Christiformity to Heal Traum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9.04
41P 미리보기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그리스도 닮음의 실천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90권 / 99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규보

    초록

    그리스도 닮음(Embodying Christlikeness)은 구원드라마를 살아가는 그리스도 인들의 생활양식이다. 그리스도 닮음을 체화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하심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을 최우선적인 기준으로 삼으며, 매일의 삶 가운데 그리스도의 표본을 따라 살아가는 한 평생의 여정이다. 이는 트라우 마 가운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연구는 그리스도 닮음이 트라우마 생존 자들에게 하나님의 위로와 긍휼을 경험하게 하는 치유의 과정이며, 더 나아 가 윤리영적 거룩함을 실천함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성장의 과정일 될수있음을논한다. 이논지를뒷받침하기위해이연구는십자가사건을 중심으로 그리스도 닮음의 치유와 거룩을 향한 실천적 함의를 살펴본다. 치 유영적 관점에서 그리스도 닮음의 실천은 침묵, 애통, 연약함/상처를 끌어안 음, 죄 죽임, 용서, 긍휼, 그리스도의 몸 된 공동체 형성을 포함한다.

    영어초록

    In Christianity, embodying Christlikeness, Christiformity, is a God-given way of human flourishing. Since Jesus Christ is the “exact imprint” of God’s image (Heb 1:3; Col 1:15; 2 Cor 4:4), he is the perfect model of life for all Christians, who have also bee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Christiformity, therefore, is the ultimate goal of the Christian life. Christiformity is a lifelong journe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hrist’s words and deeds, holding it as the highest norm of interpreting the world, and following Christ’s example of living obediently in the midst of everyday life, even in the midst of trauma. This study will argue that embodying Christlikeness in suffering is a therapeutic journey of living out the theodrama that serves as a faithful way to promote healing from trauma. The journey is, for the wounded believer, coming to see God’s comfort and compassion and experi- encing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of sin, damage, and suffering. Along the way, it also promotes the development of ethicospiritual holiness, which manifests God’s glory. To support the argument, this inquiry will explore diverse aspects of Christlikeness related to the cross, which includes silence, lament, vulnerability, mortification of sin, forgiveness, compas- sion, and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