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드라마 <원녀일기>에 나타난 고전소설 리텔링 방식과 공감과 위안의 서사 (A Study on the Retelling Methods of Classical Novels,and the Narratives of Sympathy andComfort in The Spinster Dia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6.04
26P 미리보기
드라마 &lt;원녀일기&gt;에 나타난 고전소설 리텔링 방식과 공감과 위안의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0호 / 91 ~ 116페이지
    · 저자명 : 이명현, 강우규

    초록

    <원녀일기(怨女日記)>는 고전소설을 소재로 오늘날 미혼 여성의 사랑과 결혼을 다룬 드라마이다. <원녀일기>에서는 콩쥐, 춘향, 심청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고전소설 속 여주인공들을 한 마을에 사는 노처녀로 설정하여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렇게 고전소설을 리텔링하는 것은 기존의 드라마에서 반복적으로 보여준 노처녀의 사랑과 결혼이라는 상투적인 소재를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특히 <원녀일기>는 여러 편의 고전소설을 동일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컨버전스(convergence)하여 새로운 이야기로 전환시킨다.
    이 드라마가 여러 편의 고전소설을 컨버전스하여 리텔링한 것은 고전소설의 단순한 남녀 관계를 변화시켜 긴장감 있는 삼각관계를 형성하게 하고, 기존의 가치와 규범을 전복하여 오늘날 여성들의 사랑과 결혼에 대한 변화된 가치관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원녀일기>는 콩쥐, 춘향, 심청의 결핍과 이를 충족시켜 가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못생긴 콩쥐, 미혼모의 딸 춘향, 가난한 심청은 오늘날 미혼여성들을 대변한다. 이들은 외모지상주의, 한 부모 가정, 경제적 빈곤 등 현실적 문제로 갈등하고 고민하지만 결국엔 남성(혹은 아버지)에게 의존적이었던 자신을 극복하고 주체적인 삶을 선택하는 여성으로 성장해간다.
    그러나 <원녀일기>에 나타나는 주인공의 변화와 성장은 남성중심적 질서를 거부하고 해체하는 방식은 아니다. 주인공들은 남성의 욕망에 부합하는 신데렐라가 되는 것을 거부하지만 신데렐라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 변화와 성장의 계기가 남성의 선택과 낭만적 사랑이라는 점은 이 드라마가 남성 중심의 헤게모니와 일정 정도 타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원녀일기>는 현실의 문제와 이상적 사랑 사이에서 고민하는 현대 여성의 딜레마를 반영하고 있다. 오늘날 여성들은 자신의 주도적 결정으로 사랑을 이루고 싶지만, 현실은 남성 중심적 질서를 인정하고 타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미혼여성이 처한 상황을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원녀일기>와 같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즉, 드라마 <원녀일기>는 현대 여성의 고민과 갈등을 위로해주는 공감과 위안의 서사인 것이다.

    영어초록

    The Spinster Diary is a drama depicting love and marriage for today’s single women, based on themes explored in classical novels. In this tale, Kongjui, Chunhyang, and Shimcheong, three women representing the heroines of classical stories, inhabit the “old maid” role in their village. Here, a classical story is retold, creating a new story out of conventional themes frequently reproduced in past dramas-namely, love and marriage. The Spinster Diary, in particular, converts familiar stories into new ones by converging their themes into a single story that unfolds within the same setting.
    The story converts and retells several classical novel themes to create a love triangle of high tension, altering the simple man-woman relationships prevalent in classical novels. By overturning old values and norms, it shows how the values of today’s women have changed.
    The Spinster Diary focuses on the process of revealing, and satisfying, its characters’ deficiencies. Chunhyang, the daughter of a single mother, ugly Kongjui, and poor Shimcheong represent today’s single women. Although they experience conflict, and worry over realistic issues such as physical appearance, social status, and economic stability, they eventually overcome their dependencies on men and grow into women leading independent lives.
    In this drama, however, the main characters’ changes and personal growth do not reject and dismantle the male-centric order. They refuse to be Cinderella to meet men’s standards;they do not deny Cinderella herself. Their growth stems from men’s choices and romantic love, indicating that, to a certain degree, the drama still compromises on the male-dominant hegemony.
    The Spinster Diary reflects the dilemmas of modern women torn between realistic issues and ideal love. Today’s women want to fulfill their love lives according to their own independent decisions, but reality asks them to recognize and compromise on the male-dominant order. Unmarried women need stories like The Spinster Diary, which sympathizes with them and provides comfort in difficult situations. In this sense, the drama functions as a fantasy to comfort modern women in the midst of their personal strugg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