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라벨링과 WTO규범에 의한 규율가능성 (The Compatibility of Carbon Labelling Schemes with WTO Norm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1.12
27P 미리보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라벨링과 WTO규범에 의한 규율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6권 / 4호 / 167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소영

    초록

    기후변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많은 국가들이 탄소라벨링제도를 도입해오고 있다. 탄소라벨링은 제품의 전 과정동안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탄소발자국을 제품에 표시하는 제도로, 소비자에게 제품의 친환경성을 비교 선택하여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하지만 탄소라벨링은 다자간 무역체제에서 무역장벽이 될 수 있다는 잠재적인 가능성 때문에 WTO체제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된다.
    WTO체제 내 탄소라벨링과 관련하여 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 이슈는, 첫째, NPR PPMs에 대한 기술규정 또는 표준이 WTO협정의 규율범위에 포함되는가의 여부, 둘째, 탄소라벨의 부착으로 인한 제품 간의 차별 가능성과 환경친화적인 생산 및 공정과정의 여부에 따른 제품의 동종성 판단, 셋째, 비정부차원의 탄소라벨링이 WTO협정의 규율범위에 포함되는가의 여부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규정, 표준, 그리고 기술규정과 표준에의 적합여부 판정절차를 다루는 WTO의 TBT협정을 중심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NPR PPMs에 대한 기술규정 또는 표준이 TBT협정의 규율대상인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국가들 간 컨센서스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제품과 관련된 PPMs만이 TBT협정의 적용을 받는다고 보는 것이 WTO 회원국들의 일반적인 해석이라고 보인다. 환경친화적 PPMs의 여부에 따른 제품의 구분과 관련, 환경친화적인 움직임을 수용하려는 WTO의 현 입장을 고려했을 때, 제품의 동종성 판단을 위해 환경친화적 PPMs 요소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부차원의 탄소라벨링과 관련, 대부분은 TBT협정의 규율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WTO의 규율을 받지 않는 비정부차원의 탄소라벨링 표준은 투명성이 부족하고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며 무역제한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WTO는 비정부차원의 탄소라벨링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앞으로도 탄소라벨링에 대한 관심은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서는 탄소라벨 관련 공통적인 국제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로 인하여 탄소라벨링이 다자간 무역체제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현재 국제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탄소라벨링 관련 국제표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growing concern over climate change,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al attributes of products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Carbon labelling schemes have been introduc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to address climate change. By analysing the product's life-cycle, carbon labelling tries to ensure that the products are environment friendly and harmless for the consumers. Carbon labelling,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product’s carbon footprint and has the potential to facilitate consumer participation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s. And the change in consumer preferences will eventually affect the trade flows among trading partners.
    Currently there are no WTO rules specific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 WTO is relevant because carbon labelling schemes are likely to present some concerns by hampering international trade flows from an international trade perspective. As carbon labelling schemes relate to trade, these measures may be subject to WTO rules and procedures. Carbon labelling schemes are likely to come under the TBT Agreement which covers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The main question is whether technical regulations or standards on NPR PPMs falls within the purview of the agreement. Despite the lack of consensus, only the product-related PPMs are considered to be covered by the TBT Agreement.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of carbon labels to products provides them with any commercial advantage or disadvantage in the marketplace, and whether the discrimination of products on the basis of embodied carbon is permissible in the WTO jurisprudence are also raised in the context of carbon labelling in the WTO. Recent proliferation of private carbon labelling schemes also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TBT Agreement is applicable to private carbon labelling.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most private carbon labelling schemes fall outside the purview of the TBT Agreement. These private standards are likely to defeat the very purpose of the TBT Agreement as they are not guided by any regulations and can be trade-restrictive.
    It is expected that carbon labelling will continue to gain in significance, especially from the WTO perspective. Lack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e multiplicity of carbon labelling standards not only cause confusion but also diminishes their effectiveness in influencing consumers' behaviors. Consequently, efforts are being made to standardize carbon labelling schemes at internation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