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BT 협정상 라벨링 제도에 관한 연구- 수산물 라벨링을 중심으로 - (Some Legal Questions regarding the Labellingunder TBT Agreement- With a Focus on the Labelling for Fisherie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3.09
33P 미리보기
TBT 협정상 라벨링 제도에 관한 연구- 수산물 라벨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집 / 18권 / 1호 / 387 ~ 419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TBT 협정은 자유 무역과 공정 무역 증진이라는 WTO 체제의 목적을 추구함과 동시에, 경제적, 비경제적 목적에서 수입국이 일정한 라벨링 조치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도 인정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들 간의 균형 유지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TBT 협정 규정의 해석과 적용상 문제들을 수산물 라벨링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우선 본 글은 수산 라벨링의 역외관할 문제와 상품의 특성과 관련이 없는 공정 및 생산방법 문제가 GATT에서와 마찬가지로 TBT 협정에서도 여전히 미해결인 상태로 남아있음에 주목한다. 패널과 상소기관은 이들 문제를 다루지 않은 채, 다른 근거에 기초하여 수산물 라벨링에 관한 판정을 내렸다. 이는 1) WTO 협정 외의 다른 국제공법 규범을 검토해야 하는 수고를 굳이 하지 않으려는 입장, 2) 문구 해석에 치중하여 TBT 협정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사항을 판단하는 것을 자제하려는 입장 때문이라고 짐작해볼 수 있겠다. 하지만 수산물 라벨링이 갖는 특성상 이들 문제를 계속 등한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패널과 상소기관의 비 WTO 규범 이용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한 대목이다.
    한편 TBT 협정 부속서 1.1의 기술규정 개념은 유연하게, 협정 2.4조의 국제 표준은 엄격하게 해석되고 있다. 수산물 라벨링 규제시 발생하는 문제는 바로 이와 같은 해석 방식이 TBT 협정의 목적상, 그리고 적용상 적절하지 않다는 점에 기인한다. 기술규정은 표준과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광의의 기술규정 개념으로 인하여 이들 두 개념의 판단 기준이 모호해졌다. 반면 국제 표준에 관한 협의의 개념 정의는 수산관련 기구, 기관, 협정이 채택한 라벨링 조치를 국제 표준에서 제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황은 국제 표준 사용 촉진이라는 TBT 협정의 목적 달성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규정, 국제 표준 개념 정의 및 해석상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TBT 위원회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BT Agreement pursues free trade and fair trade, both of which are goals of WTO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t acknowledges the right of the importing States to impose labelling measures on an economical and a non-economical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o what extent TBT Agreement keeps the balance between the multilateralism and the unilateralism by considering problems which could arise in the interpret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f TBT Agreement regarding the labelling for fisheries.
    First of all, this paper sets a focus on the situation that the issue regarding the extraterritoriality of the labelling for fisheries and the issue regarding the non-product-related processes and production methods still remain unsolved in TBT Agreement as in GATT 1994. The panel and the appellate body ruled based on other basis, without dealing with these issues. This ruling seems to show that the panel and the appellate body did not want to examine other ru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than WTO agreements. This passive position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panel and the appellate body tend to put emphasis on the textual interpretation while abstaining from dealing with issues which are not explicitly provided for under TBT Agreement. However, they should not ignore these issues that constitute cores of problems resulting from the regulation of labelling measures for fisheri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for the panel and the appellate body to change their conservative attitude toward non-WTO norms.
    Meanwhile, the definition of the “technical regulation” in Annex 1.1 of TBT Agreement is interpreted with flexibility but the “international standard” in Article 2.4 of the Agreement is interpreted with rigidity. The problem caused by regulation on the labelling for fisheries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these interpretations do not fit to the objective and the application of TBT Agreement.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the technical regulation from the standard but its distinction became blurred due to a broad concept of the technical regulation. On contrary, a narrow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makes the labelling measure which is adopted by regional organizations, bodies or agreements for fisheries to be excluded from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is situation could make it hard to reach to the encouragement for the usag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which is a goal of TBT Agreement. Therefore, the role of the TBT Committee is important in the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in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chnical regulation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