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북도립국악원 교재의 특성과 의의 고찰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Textbook by North Chŏlla Provincial Kugak Center)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전라북도립국악원 교재의 특성과 의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3호 / 101 ~ 138페이지
    · 저자명 : 김정태

    초록

    본고는 전라북도립국악원(全羅北道立國樂院)에서 1986년부터 2014년까지 28년 동안 교육교재로 발행한 37종의 교재총서(敎材叢書)를 중심으로 연도별 특성, 과목별 특성, 교재의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도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1986년부터 1991년까지의 교재는 과목별로 교재를 편찬할 만한 시간적 여유와 교재편찬을 담당할 연구원이 없거나 부족하여 편저자 없이 전반적인 국악이론 중심의 임시방편적인 교재를 제작하였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의 교재는 주로 학예연구실의 노복순(盧福順)과 류장영(柳庄暎) 연구원이 편찬하였으며, 담당과목의 기초반, 연구반, 전문반의 과정으로 교육내용을 반영하는 교재를 만들었다.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교재는 주로 서경숙(徐敬淑) 학예연구사가 무용을 제외한 전 과목에 대하여 실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편찬하였다.
    2003년 이후 발간된 교재를 중심으로 과목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현악기인 가야금(伽倻琴)교재는 모두 25곡 가운데 서양음계가 6곡(24%)이고 한국음계가 19곡(76%)으로 편성되었다. 거문고교재는 서양음계의 동요가 6곡(19.3%)이고, 가요․외국곡이 3곡(9.6%)이고, 한국음계의 민요가 8곡(25.8%), 정악․기타가 1곡(3.2%), 해당악기곡이 13곡(41.9%)으로 편성되었다. 거문고교재는 다른 교재에 비하여 한국음계의 기악곡이 약42% 가량을 차지한 독특한 편성이었다. 관악기인 대금(大笒)교재는 장르별로 고르게 편성되었으며, 서양음계 40%와 한국음계 60%로 편성하여 한국음계의 비중이 높았다. 단소(短簫)교재는 장르별로 비교적 다양한 편성을 하였으나 한국음계의 산조는 한 곡도 편성되지 않았다. 성악(聲樂)교재의 경우, 유파와 장단 그리고 음악적 특징과 사설과 사설에 따른 주해는 공통적으로 편성되었다. 다만, 악보 보는 법은 민요교재만 편성되었고, 구성요소는 판소리교재만 포함되었다.
    교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본 결과, 교재총서는 편찬 당시의 편저자 등 인적 상황을 반영하고, 담당과목의 교수법과 학습내용의 변화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국악원 역사를 반추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일련의 교재총서는 전통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초석이 되었는데, 민요교재, 강정열의 가야금병창 교재, 해금교재 등은 국악원뿐만 아니라 국악을 배우는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보급되어 활용됨으로써 전통음악 보급의 저변확대에 기여하였다. 아울러 국악원 교재는 전통적인 구전심수의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현대적인 교육매체의 활용이 보편화되는데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meaning of textbook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the age based on a series of 37 textbooks published as the textbook of education for 28 years, from 1986 to 2014 in North Chŏlla Provincial Kugak Center (Chŏlla puktorip Kugagwŏn 全羅北道立國樂院).
    As a result of examining those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enough time for making the textbooks for each subject and no in charge of researcher for the textbooks made from 1986 to 1991. Therefore people made the best use of the temporary textbooks focused on the theory of an overall kugak 國樂,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out a compiler. Noh Pok-sun 盧福順 and Ryu Chang-yŏng 柳庄暎 who worked in a art office primarily published the textbooks from 1992 to 2002 and those textbooks set up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s a process of basic class, research class and specialized class. Sŏ Kyŏng-suk 徐敬淑 published the textbooks from 2003 to 2014, focusing on the contents of practical class in all subject except for dancing class. After inspecting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closely by focusing on the textbooks having been published since 2003, the textbook of kayagŭm 伽倻琴, Korean zither with twelve strings, has 6 Western scale (24%) and 19 Korean scale (76%) out of 25 music examples. The textbook of kŏmun'go 거문고, Korean musical instrument with six strings, six-stringed Korean zither, has 6 Western scale of children's songs (19.3%), 3 pop and Western songs (9.6%), 8 Korean scale of folk songs (25.8%), 1 classic and another song (3.2%) and 13 instrument songs (41.9%). The textbook of kayagŭm has unique type that consist of 42% instrumental piece of Korean scale compared with other textbooks. The textbook of taegŭm 大笒, wind instrument, was published evenly by each genre. And it has high rate of korean scale such as 40% Western scale and 60% Korean scale. The textbook of tanso 短簫, short bamboo flute, has various type of song but there is no Korean song. In the case of textbook of vocal song, there are some common things in a sect, rhythm, characteristics and explanation of music and footnote. But the textbook of folk song is the only thing that has method of reading the score and the textbook of p'ansori 판소리 is the only thing that has the composition.
    By inspecting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the degree of academic contribution is low, but the transition of textbook has a material value of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kugak orchestra by reflecting human conditions such as compilers and understanding teaching method of those subjects and a change process of learning content. Teaching materials such as folk song books, the kayaŭgm pyŏngch'ang 伽倻琴倂唱 book by Kang Chŏng-ryŏl 姜貞烈, and kayagŭm, books came into use at the Kugak Center and widely used by people who learn kugak as well. So, it contributed to the expanding base of the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the teaching materials used in the Kugak Center also contributed to generalizing the use of systematic and modern education materials turning away from traditional method of education by o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