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계(滄溪) 임영(林泳)의 경학 — 自得과 일상에서의 실천을 중심으로 — (Changgye Im Yeong’s Confucian Classics - Focusing on self-confidence and daily practi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4.01
28P 미리보기
창계(滄溪) 임영(林泳)의 경학 — 自得과 일상에서의 실천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78호 / 153 ~ 180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약천 남구만은 창계의 문집이 대부분 ‘강학(講學)의 공정(工程)을 논했다’고 지적했다. 『창계집』에는 학문의 차제와 방법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적지않다. 약천의 지적은 매우 경청할 만하다. 창계가 추구하고자 했던 학문함의 심층적인 측면은 그 자료의 실질적인 측면에서 좀 더 추구될 필요가 있다. 경전을 공부하는 정당한 자세나 자득의 실체에 대한 토론, 훈고와 의리의 조화, 수도지교(修道之敎)와 명덕(명덕)의 실질적인 의미 등 창계가 문제삼았던 논점에 대한 진전된 이해는 여전히 필요하다. 기존에 진행되었던 학문의 대체적인 성격이나 경학에 대한 논의, 문학적 성취의 양상에 대해 좀 더 근저에서부터 그 이해의 시각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학문 자세에 있어서의 진지함과 절실함, 나아가 그 학문태도의 적실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서 탐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특히 창계는 지적인 탐색으로서의 학문활동에 그치지 않고, 흡사 종교인의 체험 영역으로 성큼 다가간 측면이 있다. 학문의 진경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하다.
    그는 “세상의 폐습을 바로잡고자 한다면 반드시 이치에 밝고 마음이 바른 학문을 소유해야 한다. 그리고 반드시 자기의 덕을 완성하고 그 덕으로 남을 교화하는 순서를 얻은 뒤라야 사람들의 마음이 스스로 복종하고 쟁단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또 반드시 오랜 세월이 지나기를 기다린 뒤라야 보고 느끼고 흥기하여 권면하며 점점 배어들어 덕과 풍속이 똑같아지는 효험에 대해 비로소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창계는 자신만이 옳다는 생각으로는 아무리 성현의 정학(正學)과 선왕의 대도(大道)를 얻었다고 하더라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가졌다. 올바른 학문을 소유하고 자기의 덕을 완성하는 것이 먼저이며 그 성숙을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창계의 학문과 경학은 바로 그러한 자신의 학문관을 실천하는 절절한 여정이었다. 그런 점에서 창계의 학문에 실학의 실마리가 있다는 선학의 지적은 매우 적실해 보인다.

    영어초록

    Yakcheon Namguman pointed out that most of Changgye’s collection of works ‘discussed the crafts of Confucianism.’ If you read 『Changgyejip』,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oems and letters is the serious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and method of learning. In this respect, Yakcheon's point is very worth listening to.
    A considerable amount of discussion on Chang-gye's literature and scholarship has already been presented in the academic world, which is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his academic image and is of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his overall impression, but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depth academic content that Chang-gye sought to pursue. The human aspect needs to be pursued further by going beyond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data.
    The advanced understanding of the issues raised by Chang-gye, such as the proper attitude to study the scriptures, the discussion about the reality of self-acquiring, the harmony of morals and righteousness, and the practical meaning of monasticism and Myeongdeok, is not related to the general nature of existing scholarship. It is presumed that it will have a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it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ussion of Confucian classics and aspects of literary achievement from a more fundamental level.
    This seems to be worth exploring as a critical review of the seriousness and urgency in academic attitude and, furthermore, the appropriateness of that academic attitude. In particular, since his academic activities are not limited to intellectual exploration, but there are many aspects that approach the area of experience of religious people, such review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true state of the study.
    He said, “If you want to correct the evil practices of the world, you must possess knowledge that is clear on reason and has a sound mind, so that your teachings will be valid and evils will not occur in the future. And only after perfecting one's virtue and attaining the order of enlightening others with that virtue will people's hearts obey themselves and disputes will not arise. Also, he argued, “Only after waiting for a long time to pass will we be able to talk about the efficacy of seeing, feeling, being excited, exhorting, and gradually becoming ingrained and becoming the same as virtue and customs.” Changgye took the position that no matter how much he acquired the righteous knowledge of a sage and the great path of a good king, he could not do it if he thought that he was the only one who was right. He emphasized that he must first possess the correct knowledge, perfect his virtue first, and then wait a long time. Changgye's learning and Confucianism were an earnest journey to lay the foundation for such academic awareness, and in that respect, Seonhak's point that Changgye's learning contains a clue to Silhak is a very accurate arg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