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침엽수림 상부의 단일층 풍속 관측으로부터의 영면변위 추정에 관하여 (On Estimation of Zero Plane Displacement from Single-Level Wind Measurement above a Coniferous Forest)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0.03
18P 미리보기
침엽수림 상부의 단일층 풍속 관측으로부터의 영면변위 추정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12권 / 1호 / 45 ~ 62페이지
    · 저자명 : 유재일, 홍진규, 권효정, 임종환, 김준기

    초록

    영면변위(d)는 거친 식생군락에 의해 운동량이 모두흡수되어 군락 내의 대수적 풍속 프로파일이 0이 되는 높이를 말한다. 군락의 표면 거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영면변위는 군락난류의 분석과 지표 스칼라 플럭스의 계산에 매우 중요하다. 본 단보에서는 Monin-Obukhov 상사이론에 기반을 두고 단일층에서 관측된평균수평풍속 자료를 사용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을사용하여 광릉침엽수림에서 d 값을 추정하였다. 관측지의 비균질성과 복잡성을 고려해서, 표면거칠기와 바람체계가 d에 미칠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자료를 매 30o 간격의 풍향별로 나누었다. 전반적으로두 방법을 사용한 결과는 서로 비슷했는데, d/hc (여기서 hc는 군락의 높이로서 약 ~23m)는 풍향에 따라0.51~0.97의 범위를 보였다. 이러한 d/hc의 값의 범위는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범위(0.64~0.94)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다소 높은 쪽에 분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의 하나로는 관측이 두 방법의 전제인Monin-Obukhov 상사이론이 성립하지 않는 거칠기아층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관측높이가 거칠기 아층에 존재할 경우에는 단일층 풍속으로부터 영면변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그결과를 해석하는 데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Zero plane displacement (d) is the elevated height of the apparent momentum sink exerted by the vegetation on the air. For a vegetative canopy, d depends on the roughness structure of a plant canopy such as leaf area index, canopy height and canopy density, and thus is critical for the analysis of canopy turbulence and the calculation of surface scalar fluxes. In this research note, we estimated d at the Gwangneung coniferous forest by employing two independent methods of Rotach (1994) and Martano (2000), which require only a single-level eddy-covariance measurement. In general, these two methods provided comparable estimates of d/hc (where hc is the canopy height, i.e., ~23m), which ranged from 0.51 to 0.97 depending on wind directions. These estimates of d/hc were within the ranges (i.e., 0.64~0.94) reported from other forests in the literature but were sensitive to the forms of the nondimensional functions for atmospheric stability. Our finding indicates that one should be careful in interepreation of zero plane displacement estimated from a single-level eddy covariance measurement that is conductaed within the roughness sublay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