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우 소유 문제를 통한 불교의 物慾 다스림에 관한 일고 (A Study on Controlling Earthly Desires Based on the Alms Bowl Ownership Issues in Buddh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09
29P 미리보기
발우 소유 문제를 통한 불교의 物慾 다스림에 관한 일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7호 / 68 ~ 96페이지
    · 저자명 : 한수진

    초록

    발우는 불교 수행자라면 반드시 소유하여 공양할 때 사용하는 식기(食器)이면서, 불교 수행자임을 상징하는 표식이다. 초기불교에서 이런 발우는 재가자가 수행자에게 보시하는 가사 · 음식 등과 같이 보시물이기도 하여 발우에는신성함도 있었으며, 수행자가 소유할 수 있는 재물로 인식되면서 집착과 탐욕을 일으키는 물질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율장에서는 사타법(捨墮法)에 속하는축장발과한계(畜長鉢過限戒)와 걸발계(乞鉢戒)를 중심으로 비구의 발우 소유권과 그로 인해 유발하는 물욕을 둘러싼 문제를 다루고 있다. 수행자에게는 오직 일발(一鉢)의 소유권이 허용되지만, 재가자의 보시로 여벌의 발우가 생기면최대 10일 동안은 그 소유권을 인정한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발우가 파손되었을 경우 수선이 가능함에도 새 발우로 교체하는 것은 금지한다. 비구가 이들 규정을 위반하면, 승가 대중이 모인 가운데 갈마의식을 통해 비구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면서 새롭게 얻은 여분의 발우를 승가에 버려야 한다. 그러나 이 의식은 발우를 범계비구에게 돌려주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갈마로 비구의 발우 소유권이 박탈되지만, 불교에서는 그것이 완전한 물욕의 제거 방법으로 보지는 않는 듯하다. 갈마와 범계로 얻은 발우를 소유하면서 사용할 때마다 실행해야만 하는 작정(作淨)이나 수지(受持) 등의 의식은 수행자가 물욕을 다스리는 하나의 방편으로 활용된다. 무엇보다도 초기불교에서는비구 개인의 물욕 제거에 승가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점이 주목된다.

    영어초록

    The alms bowl, which is an eating vessel that monks must own it and use for eating, is a symbol of the Buddhist practitioner. It was used as one of goods like robes and food by monks for dāna, so it represents holiness in early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alms bowl was recognized as the property of monks and became a material that brought attainment and desire. Thus, the precepts of “Not accumulating alms bowls exceeding the period” and “Not begging alms bowl” are regulated under the nissaggiyāpācittiya rule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alms bowl ownership and its desires. Monks have a right to keep only one alms bowl.
    but the ownership is guaranteed for ten days for extra alms bowls that are donated by the laities. Also, exchanging a used bowl for a new one even though it is still usable is prohibited. If a monk violates these regulations, he should return the newly gained extra alms bowl to the sangha with confession and repent the sin through the karma ritual. However, the ritual ends up with returning the thrown alms blow to the violating monk. The right of ownership for the extra alms bowl is dismissed under the karma ritual. However, it seems that Buddhism believes that just removing rights is not a proper way to completely eliminating material desires. The karma ritual, as well as the ritual of purifying or owning whenever the returned alms bowl is used, served as an expedient to release desires. Additionally, the sangha should collaborate to get rid of a monk’s obsession and desire in early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