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泗沘都城과 '定林寺' (Plan of Sabi-Capital Castle and ‘Jeongnim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百濟 泗沘都城과 '定林寺'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94호 / 107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도학

    초록

    백제는 538년에 사비성으로 천도하였다. 사비성 천도는 475년에 한성 함락으로 인한 63년간의 과도기적인 웅진성 도읍기를 청산하고 雄飛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새 國都의 시대를 맞았음을 뜻한다. 이러한 사비성 도읍기의 전개와 관련해 그간의 쟁점을 중심으로 크게 2개의 주제로 고찰해 보고자 했다.
    제1부는 사비성 천도와 관련한 제반 준비 작업을 살피는 일이다. 제2부는 都城의 조성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최근의 발굴 성과에 힘 입어 ‘定林寺’의 조성 시기와 伽藍이 지닌 성격에 대한 재검토를 한 것이다. 물론 이는 그에 앞서 前提된 사비도성의 조성 계획과 遷都목적을 구명하기 위한 후속 작업의 일환이었다. 사비성 천도에 주도적으로 협조한 세력은 사택씨가 아니라 木氏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사비도성의 구획과 관련해 쟁점이 되고 있는 게 西쪽 羅城의 존재 여부였다. 한성 도읍기부터 홍수의 범람으로 인한 제방 축조의 경험을 지닌 국가가 백제였다. 백마강에 접할 수밖에 없는 西쪽 羅城은 제방의 역할과 더불어 도성의 완결성을 가져다 주는 사안이었기에 존재했다고 보아야 한다. 南北자오선상에 一列로 부처 관련 시설이 배치된 '정림사지' 가람 구조는 '王이 곧 부처이다'라는 사상과 관련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부처와 동격의 위상을 확보하고자 한 백제 왕을 정점으로 한 강력한 왕권의 표상이기도 했다.
    최근의 발굴 성과에 따르면 ‘정림사지’는 7세기대에 창건된 것으로 드러났다. 사비도성 기획과 관련해 조성된 사찰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정림사지’의 寺刹이름은 백제나 고려시대 때도 定林寺라는 사찰은 아닌 것으로 구명되었다.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로 남겨졌다.

    영어초록

    Baekje transferred the capital to Sabi-castle in 538. The capital Hansung was fallen in 475. And during 63 years, Baekje settled transitional Woongjin-castle capital period. So transferring of the capital means that Baekje entered a new era to fulfill dreams of Woongbi. In this paper, I studied 2themes regarding evolvement of Sabi-castle capital period, preponderantly current issues.
    Part 1 is to search the work of making every preparation about transferring of the capital to Sabi-castle. In part 2, I tried to investigate some problems about constructing the capital city. With recent excavations, I reexamined the construct time of ‘Jeongnimsa’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temple.
    But it was a kind of follow-up work for investigating the plan for creation Sabi-castle and the purpose of transferring of the capital.
    I raised the probability that it was not ‘Sataek’ clan but ‘Mok’ clan, who cooperated mainly in transferring of the capital. With planning of Sabi-Capital castle, the existence of city Wall, which is located in South, became an issue.
    From Hansung capital period, Baekje had had experience of banking because of flooding. City-Wall, which is located in South, borders with Baekma River.So it was very important for its purpose, banking. And it brought completeness to castle. In the line of north and south meridian, there are Buddhist facilities in the Architectural Organization of ‘Jeongnimsaji’. The Architectural Organization is related to the idea of ‘King is Buddha.’ Also it was symbol of strong royal authority, and king of Baekje wanted to retain the same status as Buddha’s.
    According to recent excavation result, ‘Jeongnimsaji’ was founded during the 7th century. It was revealed that the temple was not founded regarding the plan of Sabi-Capital castle. And the name of temple, ‘Jeongnimsaji’ is not the temple ‘Jeongnimsa’ in the era of Baekje or Goryeo. It remained a major problem to investig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