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티벳의학의 전통과 현대화 - 인도 소와릭파(Sowarigpa)와 관련하여 - (Tradition and Modernization of Tibetan Medicine - In Relation to the Indian Sowa Rigpa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03
21P 미리보기
티벳의학의 전통과 현대화 - 인도 소와릭파(Sowarigpa)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104호 / 69 ~ 89페이지
    · 저자명 : 양영순

    초록

    서구의학 외에도 전 세계 곳곳에서 전통의학이 발전해왔다. 특히 아시아의 중의학, 인도 아유르베다 이외에도 티벳의학은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티벳의학은 지리적으로 북부 히말라야, 네팔, 몽고, 부탄, 중국에 걸치는 넓은 문화권에서 나타나고 역사적으로는 서아시아와 그리스 의학에서도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나타나는 실로 국제적인 전통의학이다.
    중국의 박해를 피해 인도 다람살라로 망명하여 세계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티벳불교의 확산과 함께 티벳의학도 주목받고 있다. 티벳의학은 자비의 실천, 고통의 치유라는 불교적 모토와 걸맞게 티벳의 인도주의적 활동의 수단이 된 것이다.
    티벳고원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하는 티벳의학은 7세기 불교의 유입과 함께 불교(승원)의학의 형태로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7세기 송첸감뽀 왕이 불교의학을 장려하기 시작한 이후 17세기 달라이라마 5세의 전폭적인 지지를 거치면서 티벳전통의학은 불교의학으로 자리잡았다. 불교의 전파와 함께 아시아 지역에 전파된 티벳의학은 그 과정에서 각 지역의 전통의학과 습합되면서 변천해왔다.
    한편 20세기 인도 지역에 자리잡은 티벳 망명정부의 활발한 노력으로 티벳의학은 ‘잃어버린 아유르베다’의 한 형태로나마 인정받았으며, 2010년도에 인도정부는 티벳의학 즉, 소와릭파(치유의 과학)를 인도땅의 전통의학(아유쉬)으로 공인하였다.
    AYUSH라는 7가지 전통의학(아유르베다, 요가 및 자연치유, 유나니, 싯다, 소와릭파, 동종요법)으로 인정된 것이다. 이로써 소와릭파는 경제적 ․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인도인의 의료체제에 편입되어 발전되게 되었다. 게다가 공인된 전통의학으로서 인도 밖 세계로도 더욱 쉽게 전파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 그림자는 분명하다. 애초부터 인도정부는 티벳의학을 조사하면서, 티벳의학을 아유르베다로 습합시키고자 했다. 그 기원에서 티벳의학과 아유르베다 의학의 유사성은 적지 않지만, 티벳의학의 문화적 독자성은 분명하다. 불교적 의학으로서, 티벳이라는 고유한 지역에서 발전된 전통의학으로서의 티벳의학은 인도정부가 아유르베다 의학의 일환인 소와릭파로 규정하는 것 이상의 의학이다.
    특히 티벳의학의 발전 역사를 살펴보면, 인도로부터의 영향 외에도 중국, 몽골지역의 토착의학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전했기 때문에 중의학과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 나아가 중의학의 영향 하에 발전한 한의학과의 접점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addition to Western medicine,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develop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most notably Chinese medicine in Asia and Ayurveda in India; however, Tibetan medicine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worldwide. To the spread of Tibetan Buddhists, who fled persecution in China and went into exile in Dharamsala, India. In keeping with the Buddhist motto of practising compassion and the healing of suffering, Tibetan medicine has become a vehicle for humanitarian efforts.
    Tibetan medicine is a truly international tradition, geographically representing a wide range of cultures across the northern Himalayas, Nepal, Mongolia, Bhutan, and China, and historically showing traces of influence from West Asian and Greek medicine.
    However, Tibetan medicine, which is said to have begun with the history of Tibet, began to develop in earnest as a form of Buddhist (monastic) medicine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seventh century. From the promotion of Buddhist medicine by King Songtsen Gampo in the seventh century to the full support of Dalai Lama V in the seventeenth century, Tibetan traditional medicine became Buddhist medicine. Tibetan medicine spread throughout Asia along with Buddhism, merging with local traditional medicine along the way.
    In the twentieth century, Tibetan medicine was recognized as a form of “lost Ayurveda” due to the active efforts of the Tibetans in India, and in 2010, the Indian government recognized Tibetan medicine, or Sowarigpa (the science of healing), as one of the traditional medicines (Ayush) of India.
    Tibetan medicine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seven traditional systems of medicine (Ayurveda, Yoga and Naturopathy, Unani, Siddha, Sowarigpa, and Homeopathy). This allowed Sowarigpa to be integrated into the Indian healthcare system through economic and policy support. Furthermore, as a recognized traditional medicine, it can be easily disseminated outside India. From the beginning, the Indian government investigated Tibetan medicine and sought to incorporate it into Ayurveda. Tibetan and Ayurvedic medicines share similar origins, and Tibetan medicine is culturally distinct. As Buddhist medicine developed in the unique region of Tibet, Tibetan medicine goes beyond what the Indian government considers Sowarigpa, a subset of Ayurvedic medicine. Tibetan medicine is growing rapidly not only in India but also globally as it has been brought under the eaves of the Indian government. However, if the label of Tibetan is easily given up, a long-standing Tibetan cultural tradition will also be lost. The fact that compromising medical integration the name of growth and development can lead to the dismantling of long-standing traditions and culture should not be overlook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