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충청도 서해안 지역 상업 활동의 사회적 의미 - 홍성군 성호리 김녕김씨가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 (The social meaning of the merchants' commercial activity on the western coastal village in the late Joseon period - based on the documents and records stored in the Kimnyung Kim family(金寧金氏) living i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4.02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충청도 서해안 지역 상업 활동의 사회적 의미 - 홍성군 성호리 김녕김씨가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4권 / 209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혁

    초록

    이 연구는 30년 전 내재적 발전론자들에 의해 주목 받았던 19세기 성호리에서의 상업 활동을 최근 이곳에서 새로 발견한 고문서들을 통해 그 활동의 성격을 재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 고문서들은 김녕김씨의 가계 기록과 그들의 거주지인 성호리가 운영되던 향약, 절목, 완문 등 많은 규약문서들을 포함한다.
    자료를 검토한 결과 다음의 세 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김녕 김씨 집안의 상업 활동은 이 집안의 긴 역사를 미루어 볼 때 비교적 단기간에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 집안은 17세기 이 마을에 들어온 이래로 주로 어업에 종사하였고, 18세기 전반까지 어업에서 얻은 이익을 토지 구입에 재투자 하고 雇奴를 통해 경작하게 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증식시켜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집안이 18세기 후반 들어 성호리가 포구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상업 활동을 개시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런 점에서 그들에게 상업은 우연이었다.
    둘째, 이 집안이 수행한 상업 활동의 목적은 서구의 부르즈와(bourgeois)가 이윤을 자신의 사업에 합리적으로 투자하는 것에서 자신의 행동이 동기화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자신의 수익을 주로 자신의 신분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성호리에는 이윤을 창출하는 부르즈와가 없었지만 이윤을 창출하는 신분에 대한 선망은 있었다. 그 사회에서 절대적인 힘을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을 추구하였다는 관점에서 보면 유사하지만, 그 양태에서는 차이가 있다.
    셋째. 성호리의 향약 조직이 반영되어 있는 규약문서인 향약문서를 검토한 결과, 성립 당시에는 상하계 중 안동김씨 집안이 상계에 속한 것 외에 성호리의 모든 집안이 하계에 속해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초엽 이 향약에 상계와 하계의 중간에 해당하는 副契를 창출한다. 부계는 이들의 신분 상승이 갖는 욕구가 머물러 선 곳이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표현된 최선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 부계는 경제적 기준에 의해서 분화된 것이 아니라 문화적 기준에 의해서 하계와 섞일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곳은 돈으로 얻을 수 있는 신분, 즉 자신에 대한 문화적 표현의 종착지였다.
    김녕김씨는 애초에 자신을 “常宗”, 다시 말하여 ‘상민의 종중’을 자처하였지만, 이후에는 점차 상위적인 양반 문화를 더욱 활발히 모방해나간다.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당시의 신분은 돈으로 획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신분이 돈보다 더 큰 마술적인 힘이 있다는 은유로 설명될 수 있었던 것도 아니다. 당시 사회에서 돈을 벌어 직첩을 사서 신분 상승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을 이 집안은 충분히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reality of the commercial activity by those who lived in the Sung-ho village(星湖里) on the Western coast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many social-economic historians focused 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autonomous development in the schemed way of Western one-directed progressive historical development about three decades ago. The antithesis objecting to this thesis has been raised. Therefore this thesis has rarely been mentioned, but the important problem remains because the commercial activity by those merchants sh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proper viewpoint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new data. The topic depends upon how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erchants should be explained.
    Having studied this topic, I've reached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1. Their main purpose of commercial activities was not to focus on obtaining profits to reinvest in the business, but on elevating themselves to a higher status. They had bought many documents of higher bureaucratic posi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needed a lot of money for those poor people starving to the death after the bad harvest. In addition, they tried to open the way to a upper class as soon as they could by imitating the lifestyle of the Yangban class(兩班) and marrying higher level of family into families with a higher status.
    2. From the standpoint of the Kimnyung Kims' long history, their commercial concerns were focused on the short-termed. Therefore their commercial activities were not essential to their characteristics.
    3. Thinking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in the organization of the village,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ir intention to get to the higher status. I think this caused them create a middle class in the village orga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