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강백 희곡의 도시 공간 연구―「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1987)」와 「칠산리(1988)」를 중심으로 (Urban space study of Lee Kang-baek's play—Centered on "Eating Utopia and Falling asleep(1987)" and "Chilsanri(1988)")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12
25P 미리보기
이강백 희곡의 도시 공간 연구―「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1987)」와 「칠산리(1988)」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87호 / 5 ~ 29페이지
    · 저자명 : 권미란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이강백 희곡의 주 배경이 되는 도시 공간의 특성을 통해 작가의 연극관과 세계관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극 기호학적 관점에서 인물과 오브제 등의 공간 요소를 자세히 분석한다. 얼마 전 전두환 씨의 사망 소식이 전해졌다. 현재 민주주의는 홍콩과 대만 그리고 미얀마 사태로 다시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다. 그래서 한국 민주항쟁, 그 시대적 의미를 작품에 반영해 온 작가 이강백의 작품세계를 새로이 논의하고자 한다. 7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뽑힌 이강백이 정작 현 사회의 문제를 연극 구조 속에 치열하게 고민하던 시기는 80년대 중반 이후다. 이강백은 사회현안을 극의 주제로 삼아, 도시와 인간의 관계망 속에서 시대의 문제를 구현하는 실험과 도전을 지속한다. 도시공간은 사회 권력과 개인의 미묘한 관계를 구현하며, 관객을 체험케 하는 ‘지금 여기’의 사건을 만든다. 작가는 33개의 도시에서 매일 100만 명이 넘는 인원이 참가했던 6.10 민주항쟁의 열기 속에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해 고민했고. 이는 작품 속 우화적 기법과 상징구조로 확인된다. 특히「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1987)」와「칠산리(1988)」는 신군부 정권과 독재체제에 대항하는 민주화운동이 가장 거세게 일던 시기에 공연된 작품이다. 시대와 역사의 문제를 대변하는 도시공간의 의미적 활용이 불응의 시대 속 상처 입은 ‘인간의 내면’까지 깊이 있게 다루게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artist's theater and worldview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which is the main background of Lee Kang-baek's play. To this end, spatial elements such as characters and objects are analyzed in detail from a theatrical semiotic point of view. Not long ago, news of Chun Doo-hwan's death was reported. Currently, democracy is becoming a hot topic of the times again due to the Hong Kong, Taiwan, and Myanmar incidents. Therefore, I would like to discuss a new world of works by artist Lee Kang-baek, who has reflected the democratic uprising in Korea and the meaning of the times in his work. It was after the mid-80s that Lee Kang-baek, who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in the 70s, was fiercely agonizing over the current social problems in the theater structure. With social issues as the theme of the play, Lee Kang-baek continues experiments and challenges that embody the problems of the times in the network of urban and human relations. Urban space embodies a subtl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ower and individuals, and creates an event here now that allows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artist agonized about the social role and function of the play amid the enthusiasm of the 6.10 Democratic Uprising, in which more than 1 million people participated every day in 33 cities. This is confirmed by the allegorical technique and symbolic structure in the work. Among them, "Falling asleep after eating utopia" (1987) and "Chilsan-ri (1988)"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gainst the new military regime and dictatorship was the strong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