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지전용이 농촌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완주군 구이면 계곡리를 사례로- (Impact of Farmland Conversion on the Agricultural Community-With Reference to Gyegok-ri, Gui-myeon of Wanju-gu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9.06
27P 미리보기
농지전용이 농촌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완주군 구이면 계곡리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19권 / 1호 / 213 ~ 239페이지
    · 저자명 : 장동헌

    초록

    본 연구는 사례지역을 통한 농지전용에 의한 실태를 통해서 농지전용의 원인, 인접농지에의 영향과 마을주민과의 관계 형성, 농촌지역에 미치는 영향 등의 실태파악을 하였다. 사례지역의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지역의 농지전용은 농업인과 도시민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주로 도시민에 의한 농지전용이 많았다. 도시민의 경우 사례지역과의 연고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지전용이 이루어진 위치가 교통이 편리한 도로변이었다. 이러한 농지전용이 이루어진 곳의 인접농지들은 대부분 지가가 높게 형성되고 있었다. 둘째, 사례지역의 마을중 원계곡의 경우 마을내에서 가축사육을 위한 축산 등을 규제하고 있었다. 이는 마을 주민과 이장 그리고 마을의 발전위원회에서 농지전용시 마을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경우 회의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규제를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사례지역의 농지전용은 주로 2006년과 2007년이었는데, 이는 2006년 1월 농지법 개정으로 인한 농지전용부담금이 공시지가의 30%로 결정된 것이 주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농지전용이 농촌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지역경제 중 고용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지역에 있어서도 식당, 공장 등이 지역주민의 고용의 형태로 지속성을 보이기는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인접 농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토사붕괴에 의한 흙의 유입이나 축사신축으로 인한 악취 발생 등의 마찰과 주변 농업환경의 악화, 인접 농지의 가격상승의 결과를 가져왔다. 다섯째, 부정적 시각과 긍정적 시각의 공존은 결국 전용자와 주민들간의 관계에서 발생하였는데, 농지 전용자가 지역주민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는 경우는 농촌사회에 있어서 원만한 관계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향후 농지 전용자와 마을주민 등이 상호이해 할 수 있는 노력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asons for farmland conversion and impact of farmland conversion on neighboring farmland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 with village residents as well as on the agricultural community by examining the circumstances created by farmland conversion in the reference region. By providing basic data for farmland conversion in the reference region, it was intended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farmland conversion accordingly. Details of analysis on the reference region are summarized as of the following.
    First, while farmland conversion in the reference region was carried out by farmers and urban residents, a majority of farmland conversions was administered mainly by urban residents. The urban residents characteristically had connections with the reference region. From this perspective, it was deduced that farmland conversion was carried out in areas with which the urban residents had a certain degree of connection, rater than in areas where there were no connections at all.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the areas where farmland conversion took place were adjacent to roads with convenient traffic. This wa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reference region was close to Jeonju, Gimje and Jeongeup, etc. and that the use of farmland conversion was frequently as a site for factories or neighborhood convenience facilities, etc. Land price of the farmlands adjacent to such areas where farmland conversion took place was mostly formed at a high level.
    Second, in case of Wongyegok among the villages of the reference region, there were regulations on livestock farming, etc. for stock breeding within the village. These are in the form of autonomous regulations drawn up through meetings, etc. of village residents, village chief and the village's development committee in case farmland conversion has the possibility to aggravate environments of the village. This will enable to minimize negative impact of farmland conversion on the agricultural community, in other words, on residents, village and the community, etc.
    Third, while the farmland conversion in the reference region took place in 2006 and 2007, the major reason for this was determination of the farmland conversion share at 30% of the declared land price due to amendment of the Farmland Act on January 2006. As it was changed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imposing the alternative farmland development cost to 30% of the individual declared land price, the share has decreased for trading of farmlands in areas where the declared land price was lower.
    Fourth, in terms of the impact of farmland conversion on the agricultural community, the impact on employment among the factors of local economy was found not to be significant. In the reference region, it was also identified difficult for jobs in restaurants and factories, etc. to maintain continuity as the employment type for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impact exerted on the adjacent farmlands led to such conflicts as inflow of soil due to collapse of earth and sand and generation of bad odor due to new installation of cattle sheds as well as aggravation of farming environments in the surrounding regions and increase in the adjacent farmland price.
    Fifth, the coexistence of negative and positive viewpoints was fundamentally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rmland converting party and local residents. When the farmland converting party made an effort to keep the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local residents, it was found that successful relationship was maintained within the agricultural community. From this perspective, efforts will be required f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se two parties in order for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agricultural communit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촌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