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社會科學과 歷史學의 統合 可能性 : 中範圍理論의 構築과 그 適用 (A Possibility of Integrating Social Sciences and History: Focused on a Formation of Middle-range Theory and its Applic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4
36P 미리보기
社會科學과 歷史學의 統合 可能性 : 中範圍理論의 構築과 그 適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사학지 / 42권 / 53 ~ 88페이지
    · 저자명 : 오열근

    초록

    사회과학자와 역사연구자 간에는 인식론적 또는 방법론적으로 메워지지 않는 간격이 존재하며, 양자의 화해는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이해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간격을 메우기 위한 조건과 방법을 제시하고, 양자의 융합기능성을 모색 하였다. 즉 사회과학에서는 이슈나 시대 및 지역에 한정되지 않는 포괄이론의 형성은 거의 불가능하다. 우선, 이론이 사회 그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가능성, 즉 ① ‘예언의 자기부정성’, ② ‘예언의 자기실현성’, 그리고 ③ ‘이론의 현상소실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왜 포괄이론의 구축이 불가능한가가 분명하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에서 도출된 것은 역사분석으로부터 이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실증분석의 질을 보전하면서, 어떤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통용되는 이론인 ‘중범위이론’의 구축을 마땅히 지향하여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이슈・시간・공간의 한정을 부가할 필요성이 논의된 것이다. 특히 마지막의 공간의 한정에 대해선 하나의 국가에 의한 정책, 하나의 집단・조직의 행동, 혹은 하나의 국가간관계로 초점을 좁힐 것을 제언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중범위이론의 구축 과정의 적용을 고찰하기 위해 Weber관료제론을 이론적 사례로 채택하였다. 이는 필자의 전문분야이기도 하다. 물론, 중범위이론의 핵심 개념인 이슈・시간 및 공간의 제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 공간의 한정에서는 비서구 관료제의 여러 특징을 고찰하여 역설적으로 Weber관료제의 특징을 비교・유추하도록 유도 하였다. 끝으로 이 중범위이론의 방법은 관료제만이 아니라 기업조직이나 국제기관 등의 다른 조직분석에서도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How can a single scholarly work be labeled both as “history” and “social science”? In other words, is there a method integrating these two different disciplines into one? Conventional wisdom tends to be accept the view that the two disciplines can never be integrated, sinc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differences exist, dividing social scientists and historians. However, shown in this study, I argued that we could theorize the integration of social science and history if we followed some rules and methods.
    That is, in social sciences it is almost impossible to form a comprehensive theory that is not limited to issues or to times and regions. First, we looked at three possibilities that theory might influence the society itself. In other words, ① ‘self-denying prophecies or self-defeating predictions’, ② ‘self-fulfilling prophecies’, and ③ ‘extinguishment of phenomenon by theory’ looked like that. As a result, it became clear why comprehensive theory is impossible to build.
    What is drawn from the above discussion is to preserve the quality of historical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form a theory in historical analysis. And it was imperative to pursue the establishment of ‘middle-range theory’, a theory that would only work within a limited scope.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limited rage of issue, time, and space. 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o narrow the focus on the problematic space for the limitations of the last space. Examples include policies by one country, behaviors by one group. organization, or one relation between countries. But in this case, it is not without problems.
    Meanwhile, this study employed Max Weber bureaucracy as a theoretical case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middle-range theory. It is also my specialty. Of course, Weber’s bureaucracy was analyzed using the core concepts of the middle-range theory, limitations of issues, limitations of time and limitations of space. And in the space’s limitations, it is ironic that the features of the non-West bureaucracy are compared by reviewing them. I was asked to make an analogy. Finally, I think this method of the middle-range theory is useful not only for Weber’s bureaucracy but for analyzing other organizations, in cluding businesse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