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서울 양반과 빈곤의 문제-도저동 金履中 家를 중심으로- (The Poor Gentry in Seoul and the Problem of Poverty in the Late 18th Century-Focusing on the Kim Yi-jung family who lived in Dojeo-dong-)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12
54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서울 양반과 빈곤의 문제-도저동 金履中 家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6호 / 139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하라

    초록

    본고에서는 18세기 후반의 서울에 거주한 金履中(1740~1787)의 생애와 가계를 추적해 조선후기 양반이 직면한 빈곤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김이중의 외사촌동생인 兪晩柱의 일기 『欽英』의 기록을 기초 자료로 삼았다.
    김이중은 조선후기 노론계의 유력한 명문으로 일컬어지는 안동김씨의 구성원으로 淸風溪 주인 金尙容의 6대손이다. 서울에 세거하던 김상용의 직계 후손들은 병자호란을 겪으며 충청도 오두리와 덕산현 등지에서 새로운 생활의 기반을 찾았고, 김이중의 증조부인 金盛達의 대에 이르러 오두리에 정착하게 된다. 김성달의 5남 金時淨이 백부에게 입양되어 삶의 터전을 덕산현으로 옮긴 이래 김이중의 先代는 가난한 충청도 양반으로 몰락할 조짐을 보였다. 이후 김시정의 차남 金礪行이 32세로 사망하자 유가족인 그 아내 杞溪俞氏와 두 아들 김이중 및 金履弘은 생계를 이을 방법이 없었다. 이에 기계유씨의 친정에 의지하여 살아가기 위해 세 모자는 서울살이를 시작했다. 얼마 후 기계유씨가 사망하자 완전히 고아가 된 김이중 형제는 전적으로 외삼촌 俞漢雋에게 의지하게 되었고, 그들은 끝내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했다.
    김이중은 龍仁李氏와 혼인하여 2남 3녀를 둔 가장이 되었고, 『흠영』에 기록된 13년간 그의 가족은 서대문 밖 둥그재와 용산 확교동, 남대문 밖 도저동 등지에 거주했다. 이 가족의 주거지가 늘 도성 밖에 있었다는 점은 그들의 열악한 사회경제적 처지를 보여준다. 또한 이 가족의 빈곤은 잦은 질병과도 관련을 갖는데, 김이중의 자녀 중 2명은 1786년 서울에 유행한 홍역을 앓았으며, 1명은 그 시기에 사망했다. 또한 김이중은 질병에 시달리다 40대 후반에 사망했다. 김이중을 포함한 가난한 양반의 삶을 지켜본 유만주는 조선의 양반에게 가난이란 사형선고나 마찬가지라는 결론을 내렸다. 김이중 사후 15년 된 1801년 그 장남 金伯淳이 천주교도로서 처형된 것은, 부친으로부터 계승된 가난의 경로를 따른 귀결이 아닌가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life and family line of Kim Yi-jung, a gentry who lived in Seoul in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is work, I intend to analyze in detail the problems faced by the gentry class of the po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asic data of this paper is Heumyeong, the diary of Yu Man-ju, Kim Yi-jung's maternal cousin.
    Kim Yi-jung is a member of the Andong Kim Clan, an influential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s the 6th generation descendant of Kim Sang-yong. The direct descendants of Kim Sang-yong, who lived in Seoul, went through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and found a new basis for life in Odu-ri and Deoksan-hyeon, Chungcheong-do. This lineage has been settled in Odu-ri since the time of Kim Seong-dal, the great-grandfather of Kim Yi-jung. Since Kim Seong-dal's fifth son, Kim Si-jeong, was adopted by his uncle and moved to Deoksan-hyeon, Kim Yi-jung's ancestors showed signs of declining as poor Chungcheong-do gentry. When Kim Si-jeong's second son, Kim Yeo-haeng, died at the age of 32, the bereaved family, his wife and his two sons, had no way to make ends meet. So, the three families went to Seoul to live by relying on Mrs. Yu's younger brother Yu Han-Jun. Shortly after, when Mrs. Yu died, the completely orphaned brothers became completely dependent on their uncle Yu Han-jun, and they were unable to stand on their own financially.
    Kim Yi-jung got married and became the head of the household with two sons and three daughters. For the 13 years recorded in Heumyeong, the Kim family lived in Dunggeujae outside Seodaemun, Hwakgyo-dong in Yongsan, and Dojeo-dong outside Namdaemun. The fact that this family's residence was always outside the four gates of Seoul shows their poor socio-economic situation. The family's poverty is also related to frequent illnesses: two of Kim Yi-jung's children suffered from the measles epidemic in Seoul in 1786, and one died around the same time. Kim Yi-jung suffered from a disease and died in his late 40s. Yu Man-ju, who observed the lives of poor noblemen, including Kim Yi-jung, came to the conclusion that poverty is like a death sentence for the gentry in Joseon. The fact that the eldest son Kim Baek-sun was executed as a Catholic in 1801, 15 years after the death of Kim Yi-jung,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following the path of poverty inherited from his fa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