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터를 활용한 한중소설 비교 연구-이태준의 <농군>과 리훼잉의 <만보산>을 대상으로- (A Data-based Comparative Research onKorean and Chinese novels-Based on Lee Taejun's and Li Huiying's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04
40P 미리보기
데이터를 활용한 한중소설 비교 연구-이태준의 &lt;농군&gt;과 리훼잉의 &lt;만보산&gt;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60호 / 159 ~ 198페이지
    · 저자명 : 이택, 유인태

    초록

    본 연구는 1931년 만주에서 일어난 만보산 사건을 소재로 한 두 소설 이태준의 <농군>과 리훼잉(李輝英)의 <만보산>을 대상으로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고,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식 그래프를 구현함으로써, 시맨틱 데이터 편찬 방법론을 활용한 소설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만보산 사건은 한중일 세 나라가 모두 얽힌 역사적 사건으로서, 해당 사건을 소재로 한 한중일 소설은 그동안 각 민족․국가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꾸준히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한편으로 그동안 비교학적 차원에서 작품을 독해하는 연구가 다수 시도되었음에도, 정성적 관점에 입각한 결론적 요지 외에 그것들 사이에 얽힌 문예적 차이를 섬세하게 짚어내는 연구는 없었다. 작품 전체의 지형을 비교하여 보기 위해서는 연역적 성격의 규준이 필요하고, 그에 근거한 귀납적 차원의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 일반적인 텍스트 읽기로는 그와 같은 방식의 접근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차용한 시맨틱 데이터는 Triple(S-V-O) 형식의 데이터 편찬을 준용함으로써, 인문 지식이 지닌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정교하게 기술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와 같은 접근은 소위 디지털 인문학으로 표방되는 데이터 기반의 비선형적(non-linear) 읽기 방법론 가운데 하나로서, 텍스트를 독해하는 과정에서 연역적 규준의 정립과 귀납적 검토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 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작품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맨틱 데이터 편찬 및 지식그래프 구현을 통한 소설 읽기의 실험적 모색으로서 본 연구가 던지는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created semantic data for two novels, <The Farmer> by Lee Taejun and <Mt. Manbo> by Li Hueing.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fresh research using the semantic data compilation methodology by implementing the created data as a knowledge graph. The Manbosan Incident is a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storical event. Because of their qualities that reflect the perspectives of each nati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novels based on the incident have been the subject of continual discussion. Meanwhile, a number of scholars have sought to view the works in a comparative light. However, except from the conclusion based on a qualitative point of view, there has been no study detailing the literary distinctions linked across novels. In order to compare the topography of the entire work, a deductive standard is required, as well as an inductive dimension review based on it. By utilizing the triple(S-V-O) format data compilation mutatis mutandis, the semantic data borrowed from this research is focused on precisely defining the varied range of humanities knowledge. One of the data-based non-linear reading approaches given as the so-called ‘digital humanities’ is this approach. In the process of reading texts, this allows for the creation of deductive norms and the execution of inductive evaluations. This research will have ramifications as an experimental search for innovative reading using semantic data compilation and knowledge graph implementation in a context where research on works utilizing data analysis methods has recently increa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