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날문토기 등장과정에 대한 재해석 -해남 군곡리유적을 중심으로- (Reinterpretation on the Emergence Process of Beating Patterned Pottery - Focused on the Remains of Gungok-ri, Haenam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2
18P 미리보기
타날문토기 등장과정에 대한 재해석 -해남 군곡리유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8권 / 108 ~ 125페이지
    · 저자명 : 한옥민

    초록

    본고는 최근까지 연구자간 상호논쟁이 지속되고 있는 철기시대 前期의 시간적 공백 문제와 관련한 답을 찾는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질무문토기에 반영된 제작기술의 변화가 타날문토기와 관련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제까지 경질무문토기는 기면에 직접적인 타날문이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타날문토기 이전의 토기군 또는취사구조의 차이에서 비롯된 지체현상 등으로 이해되어 왔다. 군곡리의 토기 관찰 결과, 繩文打捺된 경질무문토기의 존재를 통해 타날문토기 제도 기술의 인지 이후로 본격적인 제작과 확산이란 프로세스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근거할 시 타날문토기에 대한 인지 시점은 기원전 1세기대로 상회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다만, 호남지역에서 선출하는 타날 문양은 격자문이 절대적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기원전에 성형·소성된 경질무문토기 외면에 베풀어진 승문타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는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물론 타날문토기의 출현을 토기 기면 전체를 타날한 경우로 한정한다면, 기원후 2세기대로 보는 기존 주장이 틀리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타날문토기의 개념에 대해 완벽한 제품을 변화 획기의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내면에 담겨진 새로운 속성을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 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an answer to the problem of time gap in the Early Iron Age, over which researchers have a continuous argument until recently.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whether the change in manufacturing technique, applied to hard plain pottery, was related to beating patterned pottery.
    So far, hard plain pottery has been understood as a pottery group that existed before beating patterned pottery or as displaying a delayed development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in cooking space. The reason is that there is no clear beating pattern on the surface of hard plain pottery. Among the pottery excavated in Gungok-ri is hard plain pottery with beating pattern, which has been confirmed to be important archeological materials that can explain the process of the full-fledged manufacturing and expansion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beating patterned pottery. In this light, my opinion is that the recognition period of beating patterned pottery can date back to the 1st century B.C.
    However, given that the lattice pattern accounts for the majority beating pattern of pottery excavated in the Honam region, it remains to be solved how to understood the seungmun beating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hard plain pottery that was shaped and fired in the B.C.
    era. Of course, I would not make an issue of the existing argument that beating patterned pottery appeared in the 2nd century, when its appearance is limited to being related to the pattern present on the whole surface of pottery. I expect that this problem can be solved if an agreement is reached on whether to take a perfect product as a standard to decide the period of change or to take a new property contained inside a product as a new stand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