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 탐색 (Exploring the Content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Jean Baudrillard’s Thinki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02
25P 미리보기
장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 / 76권 / 129 ~ 153페이지
    · 저자명 : 이은적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양상을 드러낸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하여 미술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을 검토해 보는 데 있다. 우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보드리야르 사고를 관점별로 검토하고, 이어서 그의 사고를 오늘날의 사회 및 문화 상황에 적용, 논의해보며 미술과 교육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문해와 비판적 사고가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과 미술과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활용에 국한하지 말고 비주얼 리터러시와의 교집합으로 제시하여 미디어의 속성과 관련한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미술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범주별로 제안하였다. 보드리야르의 사고는 디지털 미디어와 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적인 사고의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고안하게 해준다. 이 연구는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 문헌 조사를 통해 학교급별 구분 없이 미술과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 도출해보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수업 실행과 분석, 다른 입장의 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검증은 후속 연구로 남아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et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Baudrillard’s perspectives, which illuminate the negative dimensions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Initially, I looked in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Baudrillard’s viewpoints from various angles, examining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collaborative function. Subsequently, I applied and discussed these perspectives within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elineate the specific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Of note, digital literacy should encompas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ally interpret digital images as part of a broader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In art education, digital literacy should transcend mere technical proficiency, integrating with visual literacy to enable critical analysis of images within the context of media properties. Considering this, I proposed components for common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 specific to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categorized by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value/attitude. Baudrillard’s insights enables us to deeply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 to foster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images, nurtur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serves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employing an exploratory research approach to elucidate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without distinction by school level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Further research avenues include classroom implementa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content compone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the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