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속의 관광자원화와 민속학 연구 - 그린 투어리즘을 중심으로 - (Folklore as tourism resource and Folklore Studies -Focusing on green-touris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9.05
33P 미리보기
민속의 관광자원화와 민속학 연구 - 그린 투어리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49권 / 213 ~ 245페이지
    · 저자명 : 남근우

    초록

    이 글에서는 민속의 관광자원화를 둘러싼 기왕의 논의들을 현안의 그린 투어리즘과 관련지어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한국민속학을 주술처럼 속박한 ‘가짜ㆍ진짜 민속’론은 민속학 이론과 관광의 현실 맥락에서 볼 때 그 유효성이 인정될 수 없으며, 그것에 기초한 민속의 왜곡 논의 역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무의미함이 밝혀졌다. 아울러, 종래의 민속조사와 연구방법으로는 마을민속의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 구명이 쉽지 않고, 설사 구명되었다 해도 민속의 지역성 자체는 그린 투어리즘의 성공 여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까닭에, 민속학(자)가 그 지역성의 연구 성과를 명분으로 민속의 관광자원화 현장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성립할 수 없음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오늘의 민속학은 눈앞의 그린 투어리즘을 수수방관만 하고 있을 것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명분도 서지 않고 크게 실익도 줄 수 없는 응용민속학적 접근을 멈추고, 차분한 필드 워크를 바탕으로 농어촌 생활주체들의 실존을 위한 관광 실천과 그 시행착오를 지역사회의 눈높이에서 적극적으로 대상화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지금까지 한국민속학을 규정해온 구비전승이라는 연속성의 신화와 무의식적인 관행으로서의 민속 개념을 과감히 폐기하고, 그 배후를 구성하고 있는 문화 본질주의로부터 탈각하는 게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이를 전제로, 종래의 ‘소멸의 이야기’에 기초한 문화의 물상화론이나 즉물적인 활성화 방안을 내놓기보다는, 소비자본주의를 배경으로 관광객과 지역민의 문화 코드가 조우하는 곳에서 새롭게 창발하는 ‘생성의 이야기’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자고 제안했다. 나아가, 그 새로운 ‘관광문화’ 탐구를 중심으로 한 그린 투어리즘의 현장 연구와 관련된 구체적인 물음들을 제기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critically the discourse about folklore as tourism resource in reference to green-tourism today. In conclusion, I try to clarify the efficacy of dualism, namely folklore vs. fake-lore that have restrained korean folklore studies until now, and the argument of distortion based on the dualism not to be recognized more in reality of tourism context and its theoretical context too. Besides, it is so difficult to inquire into local characteristics and its identity with the existing research and method. Even if it were so, there is no reason and interest to intervene the salvage folklorist at the scene of tourism in that folklore is used to tourism resource, because the identified local characteristics are never related with the success of green tourism.
    Then which method is reasonable the folklore studies to objectify the green tourism today? This paper criticize the applied folkloristic approach and assert to have to investigate actively concrete idea and practice of the local residents with extensive fieldwork. Moreover, I assert what is the priority matter for it, to get rid of the existing concepts and essentialism of salvage folklore. Finally, I suggest several concrete questions related to tourism studies, for sharing the research area and its problema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