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순군 <내평리 길쌈놀이>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 (The Process of Making a Public Cultural Resource of Hwasungu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7.06
25P 미리보기
화순군 &lt;내평리 길쌈놀이&gt;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4호 / 167 ~ 191페이지
    · 저자명 : 이옥희

    초록

    이 글에서는 전통사회에서는 삶의 노래였던 밭노래와 길쌈노래가 과거의 생활 방식을 추억하게 하는 연행물로 재구성되어 재현되는 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그 안에 담긴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발굴과 재현에 참여한 사람은 누구인지, 현재는 어떻게 연행되고 있으며 왜 재구성하게 되었는지, 마을에 또는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전통 민요가 공공의 문화자원이 되는 과정을 밝히고 지속가능한 전승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내평리에서 길쌈이 사라진 시기는 1960년대 초반이다.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1983년에 『한국구비문학대계』에 길쌈과 관련된 민요 11곡이 수록되었다. 1990년 남도문화제에 출전하여 물레노래와 베틀노래가 연행되고 길쌈노동이 재현되었다. 2008년 화순 풍류문화큰잔치에서 다시 재현되었으며 연희성이 강조되었다. 2013년 전남민속예술축제, 2016년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면서 길쌈문화 뿐만아니라 목화농사를 짓는 과정이 길쌈놀이 속에 포함되었다.
    내평리 길쌈놀이는 현장에서 구현되는 민속이 아니라 전통적 구전 지식을 현전화한 민속이다. 여러 이질적인 요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민속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날조된 민속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현장에서 탈맥락화된 민속이라고 하여도 소홀이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옛 전통의 소중함을 알고, 그 안에서 가치를 발견하려는 주민들의 바람이 수용된 민속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그것을 주민들은 자신들에게 맞게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전승의 방향성을 찾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함께 즐길 뿐 아니라 현대인들과 공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다른 마을들과 공유하면서 마을의 문화자원과 지역의 공공문화 자원으로 거듭나기 위한 과정을 겪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process of recreating and reconstructing performance reminiscent of the past lifestyle of a field song and a Gilssam ― the Korean traditional weaving ― song, which was a song of life in traditional society. I looked at who was involved in the excavation and reproduction, how it is now being carried out and why it is reconstructed, and how it affects the village or the area. I clarified the process of making public cultural resource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searched for a sustainable way of transmission.
    It was in the early 1960s that Gilssam disappeared in the Naepyeongli. Twenty years later, in 1983, 11 Korean folk songs related to Gilssam were recorded in 『Series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1990, it participated in the Namdo Cultural Festival so the spinning wheel song and loom song was performed and Gilssam work was reconstructed. It was reproduced again in the 2008 Hwasun Cultural Culture Festival and theater elements were added. In the 2013 Jeonnam Folk Arts Festival and the 2016 Korean Folk Arts Festival, the process of farming cotton as well as Gilssam culture was included in the Gilssam play.
    Gilssam play in Naepyeongli is not a folklore realized in the field, but a folklore that actualize traditional oral knowledge. It is a folklore created by combining various disparate elem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faked folklore, and it cannot be neglected even if it is a folklore that has been de-contextualized in the field. It is because the desire of the people who know the preciousness of the old tradition and find the value in it is accepted by the folk.
    A number of experts participate in the folk and the residents make it be accord with them. The villagers are not only enjoying it together, but also seeking ways to share it with the modern people. It is undergoing a process to be transformed into cultural resource of the village and public cultural resource of the community by sharing with other vill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